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금융>금융일반

[밀레니얼 세대와 금융] ③차, 꼭 사야하나요? (공유렌탈)

밀레니얼세대들을 중심으로 공유시장이 활성화되고 있다/유토이미지



#. 10평 남짓 규모의 음식점을 하고 있는 A씨 부부에겐 탈 것이라곤 배달을 위한 오토바이가 전부다. 가게를 열면서 기존에 있던 자동차를 팔아 보증금에 보탰기 때문이다. 대신 휴가를 보내거나 명절 친척집을 방문할 때는 쏘카를 이용한다. A씨 부부는 "차 한대를 구입하더라도 구입비용만 드는 게 아니라 보험료 자동차세 같은 유지비도 만만치 않게 든다"며 "그에 비해 쏘카는 저렴한 가격에 원하는 자동차를 운전할 수 있고, 필요할 때만 이용하니 불필요한 비용도 들지 않아 자주 이용한다"고 말했다.

밀레니얼 세대의 낮은 소유욕이 공유 시장 확대로도 연결되고 있다. 정수기와 자동차에서 시작한 공유 시장이 이제 여행용 가방, 침대 매트리스, 옷, 안마의자 등으로 확대되고 있는 것.

20일 차량 데이터 조사기관 카이즈유 데이터연구소 자료를 보면 지난해 20·30세대의 국내 승용차 신차 등록 대수는 각각 9만7108대, 26만2931대로 집계됐다. 신차 등록을 가장 많이 한 50대(30만9995대)와 비교해 21만2887대 차이다. 특히 20대의 신차구입대수는 2010년 14만8069대를 기록한 후 매년 내리막길을 걷고 있다.

반면 차량공유(car-sharing)시장은 성장세다. 차량공유 업체인 쏘카는 지난 2012년 차량 100대로 서비스를 시작한 지 7년만에 1만1000대 차량과 450만명의 회원을 확보했다. 국내 차량공유를 이용하는 인구도 700만명으로 집계된다.

2018년 성별 연령별 신차등록 현황 집계표/차량데이터조사기관 카이스유



업계는 밀레니엄 세대가 차량공유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유로 ▲학자금 등 부채 증가 ▲소득 양극화 ▲취업 준비 장기화 등을 꼽는다. 실제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청년 실업률은 지난해 8월 9.4%를 기록했다. 1999년 외환위기(IMF) 사태(10.7%) 이후 최악인 상황이다. 대졸 신입사원 평균 연령은 1998년 25.1세에서 지난해 28.6세로 길어졌다.

이런 악재는 밀레니얼 세대의 구매인식이나 환경도 바꿨다. 큰돈이 드는 소유보다 공유를 통한 다양한 경험으로 자신을 표출하고 싶게 한 것. 정보기술(IT)를 활용한 정보수집에 익숙하다는 점 또한 필요한 제품에 대한 비용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해 자동차 정수기에 한정됐던 공유시장을 가방, 옷 등으로 확대될 수 있게 했다.

시장조사전문기업 엠브레인 트렌드 모니터의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75.1%는 '차량공유가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이들 중 49.1%는 자동차 구입에 대한 부담감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점을 꼽았다. 이어 극심한 주차난 해소(42.6%), 혼잡한 교통체증 개선(40.03%)이 뒤를 이었다.

이에 따라 현대캐피탈 등 업계도 이런 추세를 감안해 중소렌터카 업체 200여곳과 차량공유 플랫폼 '딜카' 사업을 열고있다. 딜카는 고객이 원하는 시간·장소에 차를 가져다 주고 이용 후 반납은 자유롭게 하는 서비스다. 현대캐피탈 관계자는 "딜카 서비스가 아직 규모 면에서 미비하지만 중소 렌터카 업체에 적합한 공유 플랫폼을 제공한다는 측면에서는 의미가 있는 사업"이라며 "공유시장이 확대되고 있는 만큼 플랫폼의 장점을 적극 활용해 중소렌터카 회사와의 제휴를 이어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항구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공유시장이 확대되는 이유로 '소비력 약화'와 '시장 독과점에 따른 안일함' 등으로 분석했다. 이 위원은 "젊은 층의 소비력 약화와 더불어 시장을 독점하다시피 해온 국내차 업체들의 안이한 대처가 새로운 서비스가 나오는 원인으로 작용했다"며 "소비자 성향 분석과 함께 원가 절감 노력 등을 시작해야 한다"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