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금융>재테크

저축은행 수익성 희비...서울 50%↑, 경남권 40%↓

저축은행의 주요 재무비율의 현황/예금보험공사



지역 간 저축은행 격차가 더 벌어졌다. 부산·울산·경남지역의 경기침체가 장기화되면서 지방 저축은행의 수익이 급격히 악화돼서다. 반면 수도권에 위치한 저축은행의 수익은 개선됐고 특히 서울지역 저축은행은 지난해보다 수익이 50%까지 증가했다. 지역간 양극화가 심화되자 업계 안팎에선 중소형 저축은행의 부실화 가능성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온다.

◆ 저축은행도 양극화

16일 금융통계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서울지역 23개 저축은행의 순이익은 3061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보다 47.8%(985억원) 증가한 수치다. 평균 당기순이익도 133억원으로 업계 평균보다 2배 가까이 높았다. 업계 1위인 SBI저축은행의 순이익은 502억원으로 타 지역 저축은행의 총 순이익과 비슷한 수준을 기록했다.

반면 부산 울산 경남지역의 12개 저축은행의 순이익은 401억원으로 지난해 686억원보다 41.5%(285억원) 줄었다. 개별 저축은행의 평균 순이익은 34억원으로 총 저축은행 평균인 71억원의 절반을 밑돌았다. 특히 2번째로 자산규모가 큰 BNK저축은행은 4억원의 적자를 기록했다.

다른 지역 저축은행의 수익도 대폭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충청지역은 지난해보다 22% 줄어 339억원을 벌었고, 대구 경북지역도 15% 줄어 150억원을 기록하는데 그쳤다. 수도권을 제외한 지역 저축은행이 벌어들인 수익은 총 1081억원으로 상반기 저축은행 총 수익의 10%에 불과했다.

이 처럼 지역간 저축은행이 대형과 중소형으로 극명하게 갈리면서 부실화 가능성도 높아지고 있다. 대구·경북·강원의 11개 저축은행의 BIS자기자본 비율이 12.8%로 나타나, 전체 저축은행 평균인 14.5%보다 1.7%하락했다. 특히 조선 자동차 등 제조업의 불황이 이어진 부산·울산·경남 저축은행의 연체율은 올해 상반기 기준 26억1600만원으로 지난해 같은기간(25억7400만원)대비 4200만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저축은행 관계자는 "지역산업이 위축되면 지역경제까지 침체돼 지역 저축은행의 경영상황은 그만큼 어려워 질 수밖에 없다"며 "지역저축은행이 어려워 질수록 대출가능성은 그만큼 줄어들 수밖에 없어 지역민의 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저축은행 지역별 BIS자기자본비율/예금보험공사



◆지역 저축은행 "규제완화해야"

지역 중소형 저축은행의 어려움이 계속되자 업계는 권역별 의무대출비율 완화를 요구하고 나섰다. 햇살론과 사잇돌2 등 정책금융에 한해서라도 의무대출비율을 완화해 달라는 것이다. 우량고객이더라도 다른 권역의 고객일 경우 대출을 해주지 못하는 경우가 생겨서다.

권역별 의무대출비율은 저축은행 지점이 있는 해당 지역 고객(기업·개인)의 대출이 전체 대출의 일정 비율 이상을 넘겨야 하는 규제다. 상호저축은행법에 따르면 서울과 인천·경기 지역의 의무대출비율은 50%며, 대구·경북·강원, 부산·울산·경남, 광주·전남·전북·제주, 대전·충남·충북 권역의 경우 40%다.

저축은행 관계자는 "지역권에서 저축은행 정책금융상품을 이용하려는 고객의 대부분은 금융취약계층이지만, 지역의무비율에 막혀 활성화되기 어려운 실정이다"면서 "고객들도 특정 저축은행에서 대출받고 싶어도 자기가 사는 지역에 저축은행이 없으면 불가능한 경우가 생길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금융당국은 현재 권역별 의무대출비율 완화 요구를 거부한 상태다. 지난 2011년 저축은행 사태의 발단이 저축은행 간의 영업구역 확대에서 시작됐기 때문이다. 금융당국관계자는 "권역별 규제를 확대하면 전국 단위 영업이 가능해질 수 있기 때문에 기존 입장을 바꾸기는 어려운 상황이다"고 말했다.

저축은행 업계는 이러한 규제가 서민금융기관의 취지를 무색하게 만든다고 말한다. 한 저축은행 관계자는 "모바일 금융이 확대되면서 금융산업에 지역구분이 사라지고 있고, 지역민들은 점점 감소하는 추세여서 지방저축은행이 없어지는 건 불 보듯 뻔하다"며 "지방 저축은행이 없어질수록 정책 금융등의 혜택을 보지 못하는 것은 결국 서민들이 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