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산업일반

자동차·조선 등 국내 제조업계 연말 앞두고 구조조정 한파 예상

자동차, 조선 등 국내 주력 제조업의 체감경기에 한파가 불어 닥쳤다.

제조업 불황과 미중 무역분쟁으로 인한 글로벌 경기 둔화까지 현실화되면서 기업들은 그 어느 때보다 추운 겨울을 맞이할 전망이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조선업계에 인력 구조조정 바람이 감지되고 있다. 국내 조선업계 빅3가 채권단과 약정한 자구계획안에 따라 인력을 감축해야하기 때문이다.

대우조선해양은 3분기 실적발표 하루 뒤인 15일 정성립 사장이 기자간담회를 한다. 업계에서는 이날 간담회에서 인력 구조조정 계획이 공개될 수 있다는 관측을 내놓고 있다. 대우조선해양이 2016년 채권단에 제출한 자구계획안에서 2015년 말 1만3199명이었던 인력을 올해 말까지 9000명 이하로 줄이겠다고 밝혔기 때문이다.

지난 6월 말 기준 대우조선해양의 임직원 수는 9960명으로, 자구계획대로라면 1000명 가까운 인력을 내보내야 한다.

정성립 대우조선해양 사장은 지난 6월 기자간담회에서 "초기 자구 계획대로라면 올해 구조조정을 진행해야 하지만 수주 상황에 따라 3·4분기 말께 인적 자구 계획에 대해 별도로 이야기하겠다"고 언급한 바 있다.

삼성중공업도 사정이 비슷하다. 삼성중공업 역시 올해 연말까지 1000∼2000명의 인력을 추가로 구조조정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2016년 내놓은 자구안에서 전체 인력 1만4000여 명의 30∼40%가량(4200∼5600여 명)을 2018년까지 감축하겠다고 약속했기 때문이다. 삼성중공업의 현재 임직원 수는 약 1만300명이다.

삼성중공업 관계자는 "당초 채권단과의 약속한 내용 이상으로 자구계획을 이행하고 있다"며 "인력의 경우 좀 더 신중하게 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

현대중공업은 올해 8월 해양플랜트 공장이 가동 중지에 들어가면서 이미 한 차례 희망퇴직을 실시했다. 해양플랜트 공장은 43개월째 일감을 한 건도 수주하지 못하면서 가동을 멈췄다. 당시 희망퇴직에서 150여명의 직원이 회사를 떠났다.

현대중공업은 해양플랜트 공장 가동 중단으로 생긴 유휴인력 1200여 명에 대해 11월부터 내년 6월까지 휴업을 하면서 평균임금의 40%만 지급하겠다며 울산지방노동위원회에 승인을 신청했지만 불승인 결정을 받았다. 근로기준법은 회사 경영 사정으로 휴업할 때 근로자에게 평균임금의 70%를 지급하도록 하면서 노동위원회가 승인한 경우 이보다 적게 지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현대중공업 관계자는 "유휴인력 1200여 명은 교육을 받고 있거나 일부는 출근해 주변 정리를 하고 있다"며 "당분간은 추가적인 인력 구조조정 계획이 없다"고 말했다.

국내 완성차 업체 가운데 한국지엠도 구조조정에서 자유롭지 못한 상황이다. 제너럴모터스(GM)가 글로벌 인원 감축을 단행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지엠은 전무급 이상이 희망퇴직 대상에 포함된 것으로 확인됐다.

GM은 3분기 실적을 발표한 직후 글로벌 임직원들에게 보낸 메일을 통해 미국과 캐나다, 멕시코 등 북미지역을 중심으로 1만8000명 감원 방침을 밝혔다.

이에 한국지엠 관계자는 "희망퇴직 프로그램은 글로벌 전무급 이상에 해당된다"며 "한국지엠 직원은 해당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러나 GM이 북미를 중심으로 한 글로벌 구조조정에 나선 상황에서 한국지엠 임원들을 예외로 지정하긴 쉽지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지엠의 경우 지난 2014년 이후 매년 적자를 기록하고 있으며 올해도 1조원 가량의 손실이 예상되고 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