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유통>뷰티

[위기의 로드숍]中.할인에 울고 온라인에 밀리고…속 끓는 점주들

#. 최근 화장품 브랜드 더페이스샵의 가맹점주들이 거리로 나왔다. 더페이스샵은 LG생활건강의 자회사다. 집회에 참여한 60여 명의 가맹점주들은 본사를 향해 "'갑질'을 멈춰야 한다"고 했다.

위기론에 휩싸인 화장품 로드숍 브랜드들이 국내외 안팎에서 압박을 받고 있다. 로드숍 호황기에 힘을 싣던 할인 등의 마케팅은 가맹점주와 본사간 갈등의 원인으로 일부 전락했다. 미래 전략의 부재가 가져온 결과다.

더페이스샵 가맹점주협의회는 지난 25일 오전 서울 여의도 LG트윈타워 앞에서 집회를 열고 "할인 정책을 폐지하고 기본 마진을 보장하라"고 요구했다.

이날 집회에 참여한 협의회 소속 점주는 60여 명. 지난 23일 더페이스샵 본사와 한국공정거래조정원을 통해 진행해 온 조정 절차가 최종 결렬되면서 점주들은 거리로 나왔다.

본사의 온라인 중심 마케팅과 할인 정책이 주요한 원인이다. 시종필 더페이스샵 가맹점주협의회장은 "온라인에서 무차별 할인 판매가 이뤄지고 있다"며 "이러한 정책은 로드숍을 테스트만 하는 곳으로 전락시켰다"고 지적했다.

◆무차별 할인·온라인 집중에 점주는 '울상'

국내 화장품 로드숍들은 할인 행사를 지속해오고 있다. 흡사 '연중 행사'로 봐도 무방할 정도다. 로드숍 브랜드 매장이 대거 밀집해있는 서울 명동 거리에는 '1+1', '50%' 할인 등의 광고를 쉽게 마주할 수 있다.

'할인' 마케팅은 화장품 로드숍들이 호황기이던 시절부터 시작돼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소비자들 사이에선 '로드숍=할인'이란 공식도 생긴 지 오래다.

그러나 오랫동안 지속해온 할인 정책이 로드숍 부진의 원인으로 대두되고 있다. 가맹점주들과의 주요 갈등 원인이기도 하다.

더페이스샵 가맹점주협의회에 따르면 지난해 세일 기간은 88일이었다. 2015년만 해도 연 95일에 달했으나, 본사에 요구해 세일 기간을 줄였다. 그러나 프로모션 개수가 360개에서 508개로 늘어나면서 '조삼모사'에 불과했다는 것이 협의회 측의 주장이다.

할인 행사의 부담은 고스란히 점주의 몫이다. 1000만원 상당의 할인 행사를 할 경우, 본사로부터 오는 페이백은 300만 원 수준이다. 가맹점주들은 "점주 부담은 늘어나고, 수익률은 감소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온라인 중심 마케팅도 가맹점주들로선 반갑지 않다. 최근 온라인 쇼핑 시장이 급성장하면서 로드숍 브랜드들도 직영몰 등 온라인 마케팅에 적극 투자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가맹점주의 입장은 전혀 고려되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일례로, 최근 더페이스샵은 온라인 직영몰에 '닥터벨머 어드밴스드 시카 리커버리 크림(50ml)'을 5000원에 판매했다. 이 제품은 가맹점이 1만7600원에 본사로부터 구매해, 3만2000원에 소비자에게 판매하는 크림이다.

해당 게시글은 가맹점주들의 항의로 하루 만에 내려갔지만, 점주들에 따르면 이 같은 일은 지속되고 있다. 더페이스샵의 한 점주는 "차라리 온라인에서 구매해 판매하는 게 이득"이라고 성토했다.

그렇다고 '노 세일(No sale)' 정책이 답은 아니다. 스킨푸드는 2004년 설립 당시부터 '노 세일' 정책을 원칙으로 해왔으나, 결국 경쟁사들의 할인 정책을 이기지 못했다. 이후 2014년 뒤늦게 온라인 쇼핑몰에서 특정 상품을 할인하는 것을 시작으로 전 품목 할인이 적용되는 멤버십데이까지 만들었으나 효과는 없었다.

◆점주와 '윈윈' 돼야…상생 압박 받는 본사

스킨푸드의 가맹점주 4명은 지난 8월 스킨푸드를 상대로 손해배상청구 소송을 냈다. 다른 가맹점주들 역시 조윤호 대표 등 주요 임원들에 대한 형사소송을 검토 중이다. 청와대 청원 게시판에는 '스킨푸드 점주들의 보증금만은 제발 돌려주세요'라는 청원글까지 올라왔다.

스킨푸드는 가맹점주들의 보증금과 판매수수료를 반환하지 않고 기업회생절차에 들어간 것에 대해 비판 여론도 흘러나온다.

한 스킨푸드 가맹점주에 따르면 "이전부터 제품 공급이 원활하지 않았다. 회생 신청 후에도 점주들은 마음대로 문을 닫지 못하는데, 점주들의 손해를 모른척 하고 있다"고 분통을 터뜨렸다.

더페이스샵 가맹점주협의회 측도 집회에서 본사를 향해 ▲가맹계약 조항에 없는 패널티 적용 부당 조치 ▲일방적인 공급가격 10% 인상 ▲마트 내 '숍인숍' 매장을 통한 근접출점 등의 '갑질'을 고발하며 '상생'을 요구했다.

최근 아모레퍼시픽의 이니스프리가 본사와 가맹점간 상생 협약을 체결하면서 다른 브랜드들 역시 더욱 압박을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 25일 이니스프리는 온라인 직영몰 매출을 가맹점에 나눠주는 것을 골자로 가맹점주협의회와 상생협약을 체결했다. 지난 6월부터 3차례 협상 끝에 체결된 것이다.

이니스프리는 내년 1월 1일부터 온라인 직영몰에서 발생한 매출을 가맹점으로 이관해 수익을 나누기로 합의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