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경제>경기동향

"돈 좀 빌려주세요"...상호금융 등 2금융권에 대출수요 몰린다

자영업자 김 모씨(46)는 14년 전 시어머니로부터 물려 받은 15평 상가를 담보로 대출을 받았다. 서울 지하철 5호선 마포역에서 1.5㎞ 떨어진 곳에 있는 건물은 대지면적 100㎡, 지상 3층짜리 상가주택에 있는 상점이다. 김씨는 겨우 저축은행에서 돈을 융통했다. 하지만 집을 사면서 만기가 다 된 은행 빚을 갚고 나니 빈 손이다. 그는 "시어머니 유산인 상가는 지키고 싶었는데…."라며 한숨을 내쉬었다.

'논, 밭, 과수원, 상가, 오피스텔….'

은행에서 돈줄이 막힌 자영업자나 서민들이 상호금융에 돈 되는 것은 몽땅 담보로 잡히고 빚을 내고 있다. 은행권의 대출심사를 강화한 '여신심사 선진화 가이드라인'과 정부의 각종 가계부채 대책 등의 여파로 은행 대출 문턱을 넘지 못한 자영업자와 서민들이 제2금융권으로 옮겨가는 '풍선효과' 때문이다.

28일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에 따르면 8월기준 저축은행, 상호금융(농협·신협), 새마을금고 등 비은행금융사의 기타대출(가계대출)은 205조5548억원에 달한다.

금액기준으로 매월·분기 증가세다. 2015년 4분기 159조5347억원으로 150조원을 넘기 이후 매 년 증가세다. 지난해 2월 190조2676억원을 기록했고, 올해 1월 200조6800억원으로 급증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해 까지만 해도 63%에 머물던 비은행예금취금기관의 기타대출 비중도 8월 64.8%까지 높아졌다.

여기서 비은행 금융사에는 상호금융사, 새마을금고, 저축은행, 신용협동조합, 자산운용사, 생명보험사 등이 포함되며 대부업체는 들어가지 않는다.

비은행권 비주택담보대출 증가세를 이끈 대부분은 상호금융권의 토지·상가·오피스텔 담보대출로 추산된다.

올해 8월 말 현재 비은행 예금취급기관의 가계대출 잔액은 총 317조3333억원이고, 이 가운데 새마을금고와 상호저축은행 대출액이 각각 72조2363억원, 22조5889억원이다. 신용협동조합 대출액은 36억4144억원이었다. 신탁·우체금예금 대출액은 1조1596억원에 불과하다. 나머지 184조7471억원은 지역 농축협, 수협, 산림조합 등 같은 상호금융권 대출액이다.

저축은행, 상호금융권이 토지·상가 담보대출에 집중한 것은 그 외에 마땅히 대출할 만한 대상을 찾지 못해서다. 금융권 한 관계자는 "통상 은행은 토지·상가 주택담보인정비율(LTV)을 40% 정도로 적용하는데 비해 상호금융권은 최대 70%까지 대출해 주는 곳이 적지 않았다"면서 "정부의 규제 이후에도 비주택담보대출은 좀처럼 줄지 않고 있다"고 전했다.

박근혜 정부에서는 지난 2016년 10월 31일 8·25 가계부채 대책의 일환으로 '숨은 가계부채'로 불리는 저축은행의 비주택담보대출(신용대출·기타 담보대출)에 LTV(담보인정비율) 70% 가이드라인을 적용한 바 있다.

제2금융권 여신, 특히 기타대출이 좀처럼 줄지 않는데는 저금리 장기화로 비은행 기관들이 공격적인 대출 마케팅을 벌인 데다 경기 불황으로 생계형 대출을 받는 서민들이 늘었기 때문이다. 특히 대출 과정에서 갚을 능력을 꼼꼼히 따지는 은행권의 여신심사 가이드라인이 강화되면서 은행에서 대출받기가 어려워진 자영업자와 저소득·저신용자들이 제2금융권으로 발길을 돌린 것으로 분석된다.

자영업자대출도 한 몫 한다. 자영업 대출 중 30~40%가 부동산 임대업자들이 빌린 돈이다. 이중 상당수는 비주택 부동산 담보 대출을 받고 있다.

문제는 금리 인상때다. 시장에서는 오는 11월 기준금리 인상을 전망한다.

기준금리가 오르면 시중 금리도 오를 가능성이 크다. 특히 제2금융권의 대출 금리는 은행보다 높아 저소득층의 이자 부담이 늘 수 있다. 이는 전체 가계부채의 부실 가능성을 키울 수 있다. 비주택담보대출은 가계부채 중 부실 관리가 상대적으로 어려운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권 관계자는 "토지·상가 대출은 이들을 담보로 한 대출의 부실률이 주택대출보다 경기변동에 크게 민감하다"면서 "분할상환·고정금리 비중이 여전히 낮아 부동산 경기가 침체하거나 금리 인상 등으로 경기 변동이 오면 위험에 쉽게 노출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