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금융>금융일반

미·중 '무역전쟁'에서 '환율전쟁'으로…세계 경제 타격 우려

미국의 對中(대중) 301조 무역제재 관련 주요 일지. /국제금융센터



미국이 오는 24일부터 2000억달러(224조원) 규모의 중국산 수입품에 10%의 관세를 매기기로 하면서 미·중 무역 갈등 심화 우려에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이 장중 1130원까지 올랐다.

시장은 무역전쟁이 환율전쟁으로 확대되는 것을 경계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환율 문제에 대해서 끊임없이 거론한 만큼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할 가능성이 커졌다. 이렇게 되면 최근 5차례 연속 관찰대상국으로 분류된 한국에 미칠 타격은 상당하다.

18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날보다 3.4원 내린 1123.2원에 마감했다. 이날 환율은 전일 대비 2.4원 오른 1129.0원에 거래를 시작한 후 장중 1130.2원까지 올랐다(원화가치 하락).

이는 미국 정부가 중국과의 무역협상을 앞두고도 2000억달러 규모의 중국산 수입품에 10% 관세를 추가 부과하기로 하면서 미·중 무역 갈등이 경기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예상에 안전자산인 달러 수요가 증가한 것으로 풀이된다.

미국은 일단 관세율을 10%로 적용한 뒤 내년 1월부터 25%로 상향할 방침도 밝혔다. 트럼프 정부는 이미 500억달러 규모의 중국산 제품에 25% 관세를 부과하고 있다.

앞서 지난 7월 6일 미국의 대(對)중 340억달러 관세 발효에 대해 중국이 동일한 규모의 보복 관세로 맞대응에 나섰는데, 미국이 이에 대한 재보복 방침 차원에서 추가 공세에 나서며 관세범위가 확대된 관세 부과 계획을 발표한 것이다.

미국의 추가 관세 부과 방침에 미·중 무역 전쟁은 갈수록 격화될 것으로 보인다. 미국과 중국은 물론이고 한국 등 전 세계 경제에 미치는 영향도 상당할 것으로 분석된다.

미국이 중국산 수입품 전부에 대해 25% 관세를 부과할 경우 중국의 교역과 소비·투자증가율은 각각 0.8%포인트, 0.7%포인트 위축되면서 GDP성장률이 1.4%포인트 하락하게 된다.

문제는 무역전쟁이 환율전쟁으로 번질 수 있다는 점이다. 미국은 관세 부과 이후에 10월 중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하고 환율전쟁에 본격적으로 나설 가능성이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의 환율 문제를 끊임없이 거론해왔다. 대선 후보 때부터 중국이 위안화 환율을 조작한다는 비난을 서슴지 않았던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30일 블룸버그와의 인터뷰에서도 "중국이 경제성장 둔화를 만회하려고 위안화를 절하했다"면서 중국의 환율조작국 지정 여부에 대해 "아주 강하게 살펴보고 있다"고 밝혔다.

미 재무부는 매년 4, 10월 발표하는 환율 보고서를 통해 대미 무역수지 흑자 200억달러 초과, 경상수지 흑자 국내총생산(GDP) 3% 초과, 환율시장 일방향 개입 여부(GDP 대비 순매수 비중 2% 초과) 등 3가지 기준을 충족하는 국가를 환율조작국으로 분류한다.

3가지 기준 중 2가지 항목에 해당하면 관찰대상국이 된다. 한국은 올해 4월까지 5차례 연속 관찰대상국으로 분류됐다. 최악의 경우 중국이 환율조작국으로 지정되면 한국도 악영향을 받을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우리나라 경제에 미치는 타격이 크다. 우선 중국의 대미 수출이 줄어들면 중국 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 수출도 함께 줄어들 수 있다. 환율조작국 지정 시 원화 가치도 중국 위안화에 동조화돼 절상될 수 있다. 이 경우 수출기업의 가격경쟁력은 약화된다.

국제금융센터(KCIF)는 "미국 내 강경파를 중심으로 대중 공세가 이어질 시 단기내 협상타결을 기대하기는 곤란할 것"이라며 "11월 중간선거를 앞두고 미·중 간 갈등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전체 관세 부과 규모가 5000억달러 이상으로 확대 시 시장 변동성이 커질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