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정치>청와대

남북→한미 정상회담 열고, 폼페이오 평양行 실현될까

평양 방문 대통령 특사단과 北 합의 내용 따라 한반도 문제 급물살 탈 듯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4일 밤 청와대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전화통화를 하고 있다. /청와대



한반도의 항구적 평화정착과 비핵화를 한걸음 더 앞당기기 위한 남북정상회담과 한미정상회담, 그리고 미국 고위급의 평양 추가 방문이 모두 9월안에 이뤄질 지 관심이 쏠린다.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이달 중 평양에서 3차 남북정상회담을 열기로 확정한 가운데 이를 기점으로 잠시 소강상태를 보이고 있는 북미관계가 다시 진전될 수 있는 전기를 마련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5일 청와대에 따르면 문 대통령은 전날 밤 9시부터 50분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통화를 하고 한미 양국이 각급 수준에서 긴밀한 협의와 공조를 지속해 나가기로 했다.

특히 한미정상은 유엔총회를 계기로 직접 만나 한반도 문제와 관련한 향후 전략과 협력 방안에 대해 심도있게 협의하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다.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당일 서면브리핑에서 문 대통령이 트럼프 대통령과 대북특사 파견 및 6·12 북미 정상회담 이후 진행 중인 비핵화 협상, 다가오는 3차 남북정상회담을 포함한 남북관계 진전 등 한반도 정세에 대해 허심탄회하게 의견을 교환했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이 통화한 것은 취임 후 18번째이며, 지난 6·12 싱가포르 북미정상회담 직후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으로 돌아가는 비행기 내에서 문 대통령과 통화한 이후 84일 만이다.

올해 유엔총회는 우리의 추석 연휴를 포함해 이달 말 뉴욕에서 예정돼 있다.

이에 앞서 평양을 방문해 김 위원장과 예정된 남북정상회담을 할 것으로 관측되는 문 대통령이 북에서 받은 '선물'을 갖고 뉴욕으로 향해 트럼프 대통령과도 정상회담을 할 경우 가장 이상적인 그림이 되는 셈이다.

다만 청와대는 '유엔총회 계기 한미정상 만남'에 대해서는 "추진 중인 사안"이라고 만 답했다.

이런 가운데 문 대통령의 대북 특별사절단은 친서를 들고 이날 평양을 방문했다.

특사단을 대표하는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은 출발 전날 춘추관에서 가진 브리핑에서 "특사단은 이번 방북을 통해 북측과 남북관계 발전과 한반도 비핵화, 평화 구상을 협의할 예정"이라며 "판문점선언 이행을 통해 남북관계를 발전·진전시키기 위한 여러 방안에 대해 협의를 진행해 9월 정상회담에서 더욱 구체적 합의가 이뤄지게 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완전한 비핵화를 통해 한반도의 항구적 평화정착을 위한 방안도 협의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윤영찬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이날 서면 브리핑에서 "오전 9시 평양 국제비행장에 도착한 특사단은 리선권 조국평화통일위원장과 통전부 관계자들의 영접을 받았다"며 "이어 고려호텔로 이동해 김 부위원장의 영접을 받았다"고 전했다.

윤수석은 또 "특사단은 오전 9시 33분 고려호텔에 도착, 38층 미팅룸에서 9시 35분부터 김 부위원장, 리 위원장과 20분간 환담을 했다"며 "이어 김 부위원장은 이석을 했고, (리 위원장과) 미팅을 계속 진행했다"고 설명했다.

이런 가운데 한 차례 무산된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의 평양행 재추진 가능성도 점쳐진다.

동국대 고유환 교수는 "대북 특사단이 남북관계의 독자성을 발휘해 북미대화를 추동하는 창의적 역할을 해야 하는 상황"이라며 "특사 방북을 통해 북한의 진심이 무엇인지를 확인하고, 그것에 근거해 북미대화를 촉진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