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산업일반

대진침대 이어 까사미아까지…꺼지지 않는 '라돈침대' 공포

까사미아는 관련 제품 수거에 총력, 대진은 7000개 가량 미수거 상태 '불만 폭주'

대진침대 홈페이지 화면 갈무리.



대진침대에 이어 신세계 계열사인 까사미아의 일부 매트리스 제품에서도 방사성물질인 라돈이 기준치 이상 검출됨에 따라 일상 생활에서 '라돈 침대' 공포가 좀처럼 가시지 않고 있다.

관련 정책을 총괄하는 정부기관인 원자력안전위원회(원안위)는 라돈침대 문제가 불거진 지난 5월 중순 이후 보도자료를 내고 대진침대 관련 제품을 '한 달내 수거 완료하겠다'고 약속했지만 두 달이 훌쩍 넘도록 여전히 많은 제품이 수거되지 못해 집에 고스란히 방치하고 있는 소비자도 적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게다가 관련 제품을 판 대진침대측은 홈페이지를 통해 전화번호를 3개 공지해 상담을 하고 있지만 이마저 받지 않고 있다며 소비자들의 원성이 커지고 있다. 특히 일부 소비자는 반납하지 못한 라돈침대를 처치하기 곤란해지자 아예 라벨만 떼고 그대로 내놓는 경우도 있는 것으로 전해져 2차 피해가 발생할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31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전날 원안위는 까사미아가 판매한 토퍼 세트(토퍼+베개)에서 안전기준을 초과한 라돈이 검출돼 행정조치를 명령했다.

대진침대가 불을 붙인 라돈 공포가 까사미아로 다시 살아나고 있는 모습이다.

토퍼란 주로 침대 매트리스 위나 바닥에 까는 두께 10㎝ 미만의 매트를 말한다. 이번에 라돈이 검출된 제품은 까사미아의 '까사온 메모텍스'로 2011년 당시 CJ오홈쇼핑을 통해 총 1만2395개가 판매된 것으로 집계됐다.

까사미아측은 원안위의 권고에 따라 바로 관련 제품 전량 회수에 들어갔다. 제품이 이후 단종돼 현재는 판매되지 않고 있지만 판매된 제품이 모두 수거 대상이다.

아울러 까사미아는 회수 제품에 대해선 안전이 확인된 제품으로 교환하거나 환불하는 조치를 취할 계획이다.

회사 관계자는 "본사에 자체 물류팀이 있고, 직원들까지 총 동원해 가급적 빠르게 제품을 수거할 계획"이라며 "수거 기한도 따로 정해놓지 않고 신속하게 리콜을 진행한다는게 회사의 방침"이라고 전했다.

관련 제품은 판매 당시 소비자값이 약 35만원이었지만 교환할 제품은 가격이 60만원대인 것으로 알려졌다. 또 소비자가 교환이 아닌 환불을 원할 경우엔 관련 3개 모델 가격에 따라 20만~40만원 사이에서 현금으로 돌려줄 계획인 것으로 전해졌다. 또 자사와 판매업체인 홈쇼핑사 등을 통해 수거한 제품을 위해 현재 전국에 4곳의 물류창고도 확보해 놓은 상태다.

까사미아 홈페이지 화면 갈무리.



문제는 소비자들이 관련 제품을 인지하지 못하고 있거나 수거에 한계를 드러내 반납하고 싶어도 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는 것이다.

총 31개 매트리스 모델이 리콜 대상인 대진침대의 경우 문제가 불거진 5월부터 수거에 들어가 지금까지 4만1000여 개가 수거된 것으로 알려졌다. 반납한 제품은 충남 천안 본사와 당진 야적장에 쌓여있는 상태다. 하지만 여전히 7000여개는 수거되지 못한 상태다.

2007년에 대진침대 관련 모델을 구입했다는 서울의 유 모씨는 "한 달 반 전에 관련 내용을 인지하고 지금까지 회사와 접촉을 시도하고 있지만 통화가 되질 않아 집에 그냥 방치해 놓은 상태"라면서 "원안위에 민원도 넣었지만 접수 후 처리기한이 연장됐다는 답변만 왔을 뿐 뾰족한 수가 없는 상태"라고 토로했다.

유 씨 외에도 인터넷 포털 네이버나 다음에 개설된 라돈침대 피해자 사이트에는 대진침대나 원안위의 부실한 대응을 성토하는 글이 수두룩하다.

구미에 산다는 한 소비자는 지난 28일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 올린 글에서 "(회수를 위한)신청접수를 했지만 연락도 없고, 추가접수도 받지않고 있다. 아파트에서도 밖에 내놓지 말라고 해 안방에 보관하고 있다"면서 "우체국도 동사무도 회수계획이 없다고 해 답답하니 제발 정부에서 100%회수할 수 있도록 해 달라"고 호소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