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증권>채권·펀드

대기업 자금 블랙홀...올 회사채 잠재수요 13.2조



SK해운은 회사채 모집 규모를 기존 700억원에서 1260억원으로 늘렸다. 지난 26일부터 700억원 규모 회사채에 대한 수요예측을 실시한 결과 총 2490억원이 몰리며 흥행 몰이에 성공한 덕분이다.

대한항공은 1500억원 규모의 회사채 발행을 추진 중이다. 이번에 조달하는 1500억원은 모두 만기도래하는 채권의 차환자금으로 사용된다. 대한항공은 오는 8월 31일 2000억원 규모의 회사채 만기가 도래한다. 회사 측은 "부족한 자금은 당사 자체 보유자금과 수요예측 결과를 통해 증액되는 사채발행대금을 통해 충당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재계 순위 선두권 대기업 계열사들이 블랙홀 처럼 자금을 빨아들이고 있다. 대부분 AA급 이상의 높은 신용등급에 그룹 후광까지 등에 업은 발행사들은 기관투자가의 풍부한 수요를 바탕으로 자금조달의 고삐를 늦추지 않고 있다.

해외 채권 투자 메리트가 줄어들자 기관들이 앞다퉈 회사채 시장에 뛰어 들고 있는 것도 공급을 부채질 한다.

7월 31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과 NH투자증권에 따르면 올해 신용등급 'A-'이상인 국내 기업들의 잠재 차환수요(2018년 만기도래분에서 기 발행액을 차감한 액수)는 13조2000억원이다. 기존 발행액과 만기 도래 차액이 500억원 이상인 72개 기업의 수요다.

이 중 차액이 1000억원 이상인 기업은 45곳으로 10조7000억원이다.

발행사별 미차환 규모는 삼성물산(9700억원), GS칼텍스(6500억원), 하나금융지주(6280억원), 롯데케미칼(6200억원), SK(4100억원), 한화케미칼(3550억원) 등이다.

이 가운데 삼성물산, GS칼텍스, 롯데케미칼, 한화케미칼은 올해 아직 발행이 없다.

등급별 미차환액을 보면 AAA등급 1조7000억원, AA등급 7조2000억원, A등급 4조3000억원이다. 상반기 AAA등급, AA등급, A등급 발행이 각각 6조2000억원, 16조1000억원, 4조5000억원 임을 감안할 때 규모는 크지 않다.



NH투자증권 한광열 연구원은 "상반기 증액발행 경향과 신규로 발행되는 회사채 등의 영향으로 발행액이 커보이는 점을 감안하면 차환수요를 기반으로 하는 회사채 발행은 3분기에도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A등급은 상반기 발행액에 가까운 잠재 차환수요를 보이고 있어 상대적으로 꾸준한 발행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다만 개별 기업이나 업종별 수요는 달라질 전망이다.

석유화학·정유 업종 등의 경우 업황 호조로 인한 현금보유량 증가 및 제한적 설비투자(CAPEX) 등으로 회사채 조달 필요성이 줄었다.

기업들의 투자 유인도 많지 않다. 한국은행이 발표한 2분기 국내총생산 통계에 따르면 투자 감소가 지속되고 있다. 경제성장률이 지난해 4분기 -0.2%에서 올해 1분기 1.0%로 호전됐다가 다시 둔해진 것도 건설투자와 설비투자가 뒷걸음질한 영향이 컸다. 건설투자 증가율은 1분기 1.8%에서 2분기 -1.3%로 마이너스 전환했고, 설비투자 증가율도 1분기 3.4%에서 2분기 -6.6%로 급속하게 냉각됐다. 반도체·디스플레이 제조용 장비와 항공기·선박 등에 대한 투자가 줄어든 탓인데 이 같은 설비투자 증가율은 2년 3개월 만에 최저다.

크레딧 시장 한 관계자는 "개별 발행사별 이슈로 인해 수요예측이 현재 불리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내년 상반기로 발행시점을 늦추거나 사모시장으로 발길을 돌릴 가능성도 있다"고 시장 분위기를 전했다.

KB증권 전혜현 연구원은 "금리변동성에 대한 경계감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돼 기업들의 자금조달 시도는 많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면서 "다만 비우량 크레딧물의 경우 높은 캐리매력과 발행사 펀더멘털 개선 등이 반영되면서 수요가 견조하게 유입될 전망이다"고 분석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