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경제>경제일반

고소득층 지갑 해외에서 열려…"상위 20%가 해외소비 절반 차지"



소득 상위계층(소득상위 20%·5분위 가구)의 해외소비가 전체 해외소비의 절반 가까이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내수 진작을 위해 고소득층의 해외소비를 국내로 돌릴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28일 국회예산정책처의 '우리나라 해외소비 분석과 시사점'이라는 보고서를 보면 2016년 전체 가구의 해외소비 가운데 5분위가 차지하는 비중은 49.6%였다.

같은 해 5분위 가구의 소득 비중은 38.0%, 소비지출 비중은 31.2%였다.

소득, 소비지출 비중보다 5분위의 해외소비 비중이 11.6%포인트, 18.4%포인트 높은 것이다.

시계를 2005∼2015년으로 확대해봐도 5분위 가구의 해외소비 점유 비중은 큰 차이가 없다.

5분위 가구의 해외소비 점유 비중은 2005년 52.0%에서 2007년 59.3%까지 치솟았다.

글로벌 금융위기 후인 2010년 54.4%로 내려앉았으나 2012년 59.8%로 다시 상승했고 2015년 54.0%를 기록했다.

해외소비는 국민이 해외에서 쓴 돈을 의미한다.

민간소비를 계산할 때도 포함되는 항목이다.

국민의 해외소비는 꾸준하게 늘었고 국내 소비의 증가 속도보다 빨랐다.

해외소비는 2000∼2009년 연평균 14.5%, 2010∼2017년 연평균 8.7%씩 늘었다.

반면 국내 소비는 2000∼2009년 연평균 3.6%, 2010∼2017년 연평균 2.1%씩 증가하는 데 머물렀다.

이 때문에 민간소비 대비 해외소비 비중은 꾸준히 확대해 지난해 4.3%에 달했다.

2000년 이후 해외소비가 감소한 때는 카드 사태가 일어난 2003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겪던 2008∼2009년, 남유럽 재정위기인 2011년뿐이다.

이때를 빼면 해외소비는 매년 0.2∼0.8%포인트가량 민간소비를 끌어올렸다.

해외소비는 소득수준이 상승함에 따라 해외여행 수요 등이 늘면서 자연스럽게 상승하는 측면이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소득이 1% 증가하면 해외소비가 1.47% 늘어난다.

소비 여력이 많은 고소득층의 해외소비가 많은 것도 이 때문이다.

그러나 국내 소비에 비해 해외소비만 지나치게 늘어나면 민간소비 증가가 국내 경제 개선에 별 영향을 주지 못하게 된다.

보고서는 "국내 관광, 교육산업 등 서비스업 경쟁력 확대로 해외소비를 국내 소비로 전환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며 "특히 고소득층의 소비가 국내에서 확대될 수 있도록 고급 상품·서비스를 개발해야 한다"고 밝혔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