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증권>증권일반

[스튜어드십코드 초안 확정 D-1] <中> ESG의 기준은?

/국제금융센터



국민연금이 기업 투자에 ESG 평가 지수를 활용하겠다고 밝히면서 사회책임투자(SRI)가 활성화될 것이란 기대가 커지고 있다. 반면 국내 ESG 평가는 선진국에 비해 규준이 세분화되어 있지 않은데다 ESG 관련 투자 규모도 적어 영향력이 생각보다 크지 않을 것이란 우려가 나오고 있다.

ESG는 환경(E)·사회(S)·지배구조(G)를 뜻하는 영문 약자로 기업의 지속가능성과 비재무적 요소를 점수화한 지표다. 국민연금은 자체 ESG 평가 기준으로 연 1~2회 평가를 실시한 뒤 특정 기업에 기업가치 훼손이 있다고 판단될 경우 사실관계 확인, 개선대책 등을 요구하는 비공개 주주활동부터 공개서한 발송, 경영진 면담 요구 등 공개 주주활동까지 나선다는 방침이다.

24일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지난 해 기준 한국의 ESG 순위는 32위, 점수는 58.3점을 기록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최하위권을 기록하고 있다. 또 국내 주요 연기금의 ESG 투자규모는 총자산 운용규모의 1~2%에 그치며 50%를 상회하는 유럽계 기관대비 현저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한국에서 ESG 투자는 아직 걸음마 단계에 불과해 국민연금의 ESG 투자가 의미있는 성과를 거둘 수 있을지 시장의 의문이 커지고 있다.

아직은 ESG 등급과 주가 수익성이 뚜렷한 관계성도 가지지 않는다. 사회책임투자 우량기업으로 구성된 KRX ESG Leaders 150지수는 연 초 이후부터 23일까지 -6.07% 수익률을 기록해 해당기간 코스피 수익률(-8.03%)과 1.96%포인트 차이밖에 나지 않는다.

ESG 지수 투자에 대한 금융투자업계의 호응도 부족하다. 지난 5월부터 대한항공은 최고경영자(CEO) 리스크에 몸살을 앓고 있지만 국내 증권사들은 이달까지 총 26개의 '매수' 리포트를 발간했다. CEO 리스크로 인한 주가 하락은 과도하며 '저가매수의 기회'가 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또 ESG 지수의 후행성도 문제다. 대한항공의 경우 CEO에 대한 검찰고발까지 이뤄지고 나서야 ESG 등급 조정에 들어간 것이 대표적이다. 한국기업지배구조원은 위원회 회의를 거쳐 지난 23일에야 대한항공의 사회(S)지수를 하향조정했다고 밝혔다.

국민연금은 이같은 후행성은 개선하겠다는 입장이다. 기업 경영자와 비공개 대화 등 사전 면담을 통해 발생할 수 있는 비재무적 리스크를 사전차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다만 국민연금의 주주권 강화가 과도한 경영침해라는 여론 때문에 비공개 대화가 어느정도의 성과를 거둘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아울러 ESG 평가 규준의 세분화와 평가요소의 다양성도 선진국에 비해 부실하다. 정유업종는 환경적 요소, 금융은 사회적 요소, 지주사는 지배구조 문제가 가장 비중있고 세밀하게 다뤄져야 하지만 모든 업종이 같은 규준 아래 평가받고 있다. 기업지배구조원은 올해 처음으로 930개사 중 금융회사(87개사)만을 분류해 새로운 평가모형을 제정하고 평가했다고 밝혔다.

ESG 평가 요소 중 여성의 사회적 진출 비중도 고려돼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미국의 경우 ESG 평가 시 여성 임원 진출 비율도 고려사항 중 하나다. 해당 기준에 부합하는 기업으로 구성된 지수성과를 추적하는 스테이트스트리트글로벌어드바이저(SSgA)의 'SPDR 젠더 다이버시티 인덱스 상장지수펀드'(SPDR Gender Diversity Index ETF·SHE)를 추적하는 자금만 3억1916만 달러(약 3623억원)에 이른다.

이찬진 변호사는 "국민연금 가입자의 43~44%가 여성이다"면서 "적어도 여성임원 및 관리자 비중까지 ESG에서 고려돼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국민연금 관계자는 "현재 코드 도입에 대한 자료, 책임투자 부분을 검토하고 있는데 여력이 부족해 일단 이달 말까지 코드 안건을 올리는 게 목표다"면서 "책임투자 활성화 방안, 가이드라인을 준비하는 데는 시간이 좀 더 걸릴 것 같다"고 전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