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경제>경제정책

"삼계탕, 알고 먹으면 더 맛있다"

여름철 대표 보양식인 삼계탕. 16일 농촌진흥청이 초복(17일)을 앞두고 평소 국민들이 품고 있던 삼계탕에 대한 궁금증을 해결해 주는 자료를 배포해 관심을 모으고 있다.

우선 이름과 관련된 궁금증으로 삼계탕은 원래 '계삼탕'으로 불렸다. 농진청에 따르면 주재료가 닭이고 부재료가 인삼이었기에 본래 계삼탕으로 불렸지만 닭보다 인삼이 귀하다는 인식이 생기면서부터는 지금의 이름인 삼계탕으로 불리게 됐다고 한다.

삼계탕을 복날에 먹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삼복(三伏)은 일 년 중 가장 더운 기간이다. 땀을 많이 흘리고 체력 소모가 큰 여름에 몸 밖이 덥고 안이 차가우면 위장 기능이 약해져 기력을 잃고 병을 얻기 쉽다. 닭과 인삼은 열을 내는 음식으로 따뜻한 기운을 내장 안으로 불어넣고 더위에 지친 몸을 회복하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삼계탕을 복날에 먹게 됐다.

다음으로 삼계탕의 역사는 비교적 최근이라고 할 수 있다. 사육한 닭에 대한 기록은 청동기 시대부터지만, 삼계탕에 대한 기록은 조선 시대 문헌에서조차 찾기 힘들다. 조선 시대의 닭 요리는 닭백숙이 일반적이었다. 일제강점기 들어 부잣집에서 닭백숙, 닭국에 가루 형태의 인삼을 넣는 삼계탕이 만들어졌다. 지금의 삼계탕 형태는 1960년대 이후, 대중화 된 것은 1970년대 이후다.

삼계탕과 닭백숙은 조리법에 큰 차이는 없지만, 닭이 다르다. 백숙은 육계(고기용 닭)나 10주령 이상의 2㎏ 정도인 토종닭을 사용한다. 반면, 삼계탕용은 28일∼30일 키운 800g 정도의 영계(어린 닭)를 사용한다.

농진청에 따르면 토종닭으로도 삼계탕을 끓일 수 있다. 농진청은 한국 재래닭을 수집해 품종을 복원하고, 이를 교배해 '우리맛닭'을 개발했다. 특히, '우리맛닭 2호'는 육질이 부드럽고 초기 성장이 빨라 5주령 정도 키워 토종 삼계용으로 요리하기에 알맞다.

다음으로 삼계탕에 든 대추 먹어도 될까? 흔히 잘못 알려진 속설 중에 "대추는 삼계탕 재료의 독을 빨아들이기 때문에 먹으면 안 된다"는 것이다. 대추가 약 기운을 빨아들이는 것은 맞지만 삼계탕에 들어가는 재료는 몸에 좋은 것들이므로 굳이 대추를 피할 필요는 없다.

마지막으로 삼계탕은 모든 체질에 다 맞을까? 닭과 인삼은 따뜻한 성질을 가진 식품이다. 체질적으로 몸에 열이 많은 사람은 인삼보다 황기를 넣거나 차가운 성질인 녹두를 더해 몸 속의 열을 다스리는 것이 좋다. 여성은 수족냉증, 생리불순, 빈혈, 변비에 효과가 있는 당귀를 넣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권일 농진청 국립축산과학원 연구사는 "지금 산지 닭 값이 1㎏에 1000원 정도로 생산비보다 낮다"며 "복날엔 가족과 뜨끈한 삼계탕을 나누며 농가도 돕고 건강도 챙길 수 있길 바란다"고 말했다.한편, 다양한 삼계탕 조리 방법은 농업과학도서관 홈페이지 '우리맛닭을 이용한 삼계탕의 세계화' 책자에서 확인할 수 있다.

삼계탕./농촌진흥청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