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오피니언>기자수첩

[기자수첩] 숙제로 남은 中 ‘5G 굴기’

다가오는 5세대(5G) 이동통신 시대, 중국의 굴기가 무섭다. 통신장비업체인 화웨이를 필두로 중국 대표 통신사인 차이나모바일, 차이나텔레콤 등이 5G 시대를 앞두고 야심의 발톱을 드러내고 있다.

5G는 롱텀에볼루션(LTE)에 비해 최소 20배, 최대 1000배 빠르고, 대용량 데이터 전송이 가능해 4차 산업혁명의 핵심인 자율주행차, 스마트홈 등을 가능케 한다. 미래의 핵심 인프라가 될 5G 시장 규모는 2025년에는 약 845조원으로 성장할 전망이다.

현재 최대 통신 장비 업체는 중국의 화웨이다. 시장점유율은 29.3%에 달한다. 통신 장비 가격은 20~30% 정도 저렴하고, 기술력도 6개월 이상 앞서 있다는 평을 받는다.

중국 정부도 팔을 걷어 부치고 5G 상용화 지원에 발 벗고 나서고 있다. 중국 정부는 5G 기술 분야에서 세계 최강국으로 도약하겠다고 선언한 이후 5G 기술 육성에 5000억위안(약 84조750억원)을 투자한다고 밝혔다.

미국 이동통신산업협회(CTIA)는 지난 4월 보고서에서 5G에 가장 준비된 국가 1위로 중국을 꼽은 바 있다. 내년 5G 상용화를 앞둔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이동통신사가 화웨이의 5G 장비 도입을 고심하는 것도 화웨이의 기술력 때문이다. 미국 퀄컴의 스티브 몰렌코프 최고경영자(CEO)는 5G 시대가 개막되면 중국의 IT 기업들이 글로벌 스마트폰 업계의 정상권에 올라갈 것이라고 전망하기도 했다.

반면, 우리나라는 4G 시대 'IT 강국'으로 스마트폰, 반도체 등으로 앞서갔지만 5G 상용화 시점에서 중국에 추월당할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 정부는 2018~2022년 5년간 민관 공동으로 1조원을 투자하겠다는 방침이지만 중국에 비하면 '새발의 피' 수준이다. 통신 장비와 기기가 연동되는 구조 상 장비 시장을 선점하지 못하면 결과적으로 휴대전화 시장까지 중국에게 빼앗길 수 있다.

화웨이 장비 독식 우려도 이어지고 있지만, 정부의 대응은 원칙적으로 특정 기업을 배제할 수 없다며 미적지근하기만 하다. 정부 또한 적극적으로 앞장서서 국내 5G 생태계 조성에 나서야 한다.

다시 한 번 중국의 추격을 추월하고 통신 강국의 역사를 새길 기회는 5G 상용화를 위해 발을 뗀 이 시점이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