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정치>정치일반

'문재인1번가'처럼…"6·13 與 압승, 빅데이터 정치 마중물 돼야"

정치권이 초연결사회에 발맞춰 빅데이터를 통한 법안 발의와 유권자 분석 틀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오픈애즈



여당의 압승으로 끝난 6·13 선거 결과를 빅데이터 중심 정치의 동력으로 삼아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청와대가 국민정책 소통 플랫폼인 '광화문 1번가' 구축을 준비하듯, 정당 역시 대세나 감에 의존하는 정치에서 벗어나 데이터 활용을 고민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문재인 대통령은 후보 시절이던 지난해 4월 정책 쇼핑몰 '문재인 1번가'를 내놨다. 유권자들이 원하는 정책을 쇼핑하면, 당선 뒤 국정에 반영한다는 취지다. 문재인 1번가 누리집은 접속 폭주로 한때 마비될 정도로 높은 인기를 누렸다.

같은해 5월 문재인 정부가 출범한 뒤에는 서울 광화문에서 '광화문 1번가'가 운영됐다. 광화문 1번가는 약 50일 동안 방문자 100만여명, 정책제안 18만여건을 기록했다.

정부는 지난달 4일 정부서울청사 별관에 오프라인 광화문 1번가를 다시 조성했다. 국민과의 정책 토론이 이어지는 '공론의 장'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다.

온라인 광화문 1번가는 다음달까지 구축될 예정이다. 청와대는 광화문 1번가가 기존 국민신문고와 청와대 청원게시판, 각 부처 장관과의 대화 등 기존 창구를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내다본다.

정부는 광화문 1번가가 ▲국민의 생각을 듣고 제안을 접수하는 정책 소통의 시작(2017년 1단계) ▲대화와 토론으로 정책 결정 과정에 참여하는 정책 소통의 심화·확산(2018년 2단계) ▲적극적인 정책 소통이 제도화되고 실질적인 변화를 가져오는 단계(3단계)를 밟고 있다고 설명했다.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이 문제제기와 답변 수준에 머물렀다면, 광화문 1번가는 소통으로 쌓인 데이터가 직접민주주의 요소로 작용할 전망이다.

반면 이번 선거에서 일부 여당 후보는 공약 대신 문 대통령과의 친분 과시에 집중해 유권자에게 외면 받았다는 평가가 나온다. 한반도 훈풍과 문 대통령의 높은 지지율이라는 '대세'와 감에 의존한 선거가 여전했다는 분석이다.

야당인 자유한국당 역시 홍준표 전 대표의 막말 논란, 전통적 야당 표밭에 대한 안일한 자세 등이 박정희 전 대통령의 고향인 구미시에서마저 참패한 요인으로 거론된다.

강장묵 남서울대 빅데이터산업보안학과 교수는 17일 "신용카드 회사를 비롯한 대기업은 고객 맞춤 서비스를 위해 빅데이터 분석에 적극 나서는 반면, 정치는 달라진 점이 없다"며 "각 정당과 청와대가 기존처럼 코드에 맞는 전문가나 NGO(비정부기구) 의견만 들을 경우, 실제 사람들의 삶을 알지 못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정부와 입법부에 변화를 일으킬 기회가 왔을 때, 청와대 게시판의 동영상 답변 수준에 머무르지 말고 디지털 혁신에 대한 도전을 적극적으로 이어가야 한다"며 "대통령과 여당의 높은 지지율은 영원할 수 없기 때문에, 빅데이터로 정책 발굴과 법안 발의에 나서는 틀을 빨리 개발해 놓아야 정권이 바뀌어도 쉽게 뒤집지 못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반면 익명을 요구한 정보기술 관계자는 "각 분야 전문가들의 판단은 그 자체로 중요하기 때문에, 데이터는 보조 도구로 활용해야 한다"며 "다만 특정 SNS 선호도 등 세대별로 만드는 데이터가 다르므로, 표본 선정과 분석 등 방법론에 상당한 고민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