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오피니언>기자수첩

[기자수첩] DGB의 시간은 거꾸로 흐른다



최고경영자(CEO)의 결단이 조직의 운명을 가르는 시대다. 하루가 멀다하고 변하는 세상이다. 빠른 결정과 판단이 승부를 가른다.

위기에 처한 조직의 CEO가 결단을 내리면 경영 정상화도 빨라진다. BNK금융은 창립 후 처음으로 외부 출신 인사를 회장으로 선임하고 회장직과 행장직을 분리했다. 우리은행은 한 달여 만에 새 행장을 내정하고 조직이 안정을 찾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버티기 중인 CEO도 있다. 박인규 DGB금융지주 회장 겸 DGB대구은행장이 주인공이다. 박 회장은 취임 직후인 2014년 4월부터 올해 8월까지 33억원 상당의 백화점 상품권을 구입한 뒤 현금으로 바꾸는 이른바 '상품권 깡'을 통해 30억여원을 비자금으로 조성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경찰은 지난 8월부터 내사에 착수했고, 박 회장은 비자금을 직원·고객 경조사비, 직원 격려금 등 공적업무에 사용했다고 주장하고 있으나 근거가 명확하지 않은 상태다. 이에 대구지방경찰청은 지난 19일 박 회장에 대해 업무상 횡령, 배임, 사문서위조, 사문서행사 등 4가지 혐의로 구속영장을 신청했다. 최근엔 박 회장이 금융감독원 고위관계자에게 인사 청탁을 한 정황도 드러나 논란은 가중됐다.

이렇다 보니 DGB는 다른 금융사에 비해 뒤처지는 모습이다.

올 하반기 KB, BNK, JB 등 국내 금융지주사들은 지주 회장-행장 겸직 체제를 전부 없앴다. 제왕적 지배구조의 부작용과 업무 효율화 등을 위한 조치다. 그러나 DGB금융지주는 유일하게 지주 회장과 행장 겸임 체제를 유지하고 있다.

지배구조를 개편하려면 현 CEO가 자진사퇴를 하거나 DGB금융지주의 사외이사들이 박 회장의 거취를 결정하는 등의 방법이 있다. 그러나 박 회장은 지난 8월 "자진사퇴는 없다"고 입장을 밝힌 바 있다. DGB의 사외이사도 5명 중 4명이 박 회장 취임 후 선임된 만큼 박 회장의 사퇴를 요구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조직개편 및 임원인사에서도 잡음이 나왔다. DGB금융지주는 오는 26일 조직개편 및 임원인사를 앞두고 임원 20명에게 휴대전화 통화내역 제출을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른 은행·지주사는 진영을 꾸리고 2018년 전략을 짜는 시기에 DGB는 시대에 역행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시민단체를 비롯해 지역 주민들의 마음도 벌써 돌아섰다. 박 회장이 논란의 중심에 선 지 5개월, 지금도 DGB의 아쉬운 시간은 흘러간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