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경제>경기동향

[막내리 저금리 시대]④금융시장 '시계제로'…자본유출 우려 커져



"한국경제는 굉장히 회복력이 강하다. 불확실한 여건에서 견고함을 유지해 왔고 재정적 여력도 충분하다."(지난 9월 크리스틴 라가르드 국제통화기금(IMF) 총재)

IMF가 우리나라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3.2%로 상향 조정했다. 그러나 잠재성장률이 3% 밑으로 떨어진 만큼 경제성장을 뒷받침하기 위해선 확장적인 재정 정책과 완화적인 통화정책 기조를 유지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한국의 내년 경제성장률도 3.0%로 예측했다. 이 역시 기존 전망(2.8%)보다 0.2%포인트 상향 조정한 것이다. 지난 9월 한국을 방문한 크리스틴 라가르드 IMF 총재는 "한국의 경제성장률을 올해 3.0%, 내년 3.0%로 볼 것"이라며 전망치를 높이겠다고 예고한 바 있다.

장밋빛 전망에 글로벌 유동성도 한국을 향하고 있다. 외국인(비거주자) 자금 유입액은 올해 525억달러(2018년 435억달러)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 증시로도 자금이 몰리고 있다. 한국의 뛰어난 펀더멘털(기초체력)에 대한 외국인의 믿음이 강한 것으로 분석된다.

하지만 미국이 12월 추가 금리를 올린다면 상황은 달라진다. 외국인을 붙잡기 위해 한국은행이 선뜻 추가 금리 인상에 나설 수도 없는 처지다. 환율 차이를 노린 글로벌 핫머니가 한꺼번에 빠져나갈 수 있다.

◆ 435억달러, 해외로 유턴할까?

5일 국제금융센터·국제금융협회(IIF)에 따르면 올해 외국인(비거주자) 자금 유입액은 525억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는 지난해 85억달러보다 517% 늘어난 규모다. 2018년에도 435억달러 가량의 외국인 자금이 한국을 향할 것으로 보인다. 이는 한국경제 체력에 대한 외국인의 믿음이 바탕에 깔려 있다.

실제 한국의 경상수지는 2012년 이후 67개월 연속 흑자이고, 외환보유액이 올해 10월 말 기준 3845억달러로 늘어났으며, 2014년 9월 순대외금융자산국으로 전환하는 등 대외건전성 부분이 개선됐다.

환율 하락 유인인 외국인 투자도 늘고 있다. 외국인이 지난 10월 국내 상장주식 약 2조4190억원어치를 사들이면서 3개월 만에 순매수로 돌아섰다. 덕분에 외국인의 주식 보유잔고는 651조2000억원으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3846억달러(세계 9위)에 달하는 탄탄한 외환보유고도 환율 강세 요인으로 꼽힌다. 외환보유액은 환율 변동폭이 커질 때 시장을 안정 시킬 수 있는 버퍼 역할을 한다.

성장 잠재력도 높게 평가한다. 외국인 투자가들 사이에서 우리나라가 가장 안전한 투자처 가운데 하나로 꼽힌다.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지난 10월 말 현재 한국의 국가 신용등급은 신용평가사인 무디스 'Aa2',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AA', 피치 'AA-' 등이다. 무디스와 S&P는 상위 3번째, 피치는 4번째 등급이다.

하지만 장밋빛 전망을 낙관하기 힘들어졌다.

미국이 12월 금리 인상 카드를 꺼낼 가능성이 커졌기 때문이다. 한국은행이 금리를 0.25%포인트 올렸지만, 한·미 금리가 역전될 가능성이 크다.

한미간 금리가 역전된 적은 두차례다. 외환위기 직후인 1999년 6월~2001년 3월, 그리고 신용카드 사태 직후였던 2005년 8월~2007년 8월에 한미 기준금리 역전현상이 나타났다. 하지만 한국경제에 큰 충격은 없었다. 현대경제연구원에 따르면 1차 역전 시기에 한국의 평균 경제성장률은 11%, 수출 증가율은 20%를 기록했다. 두번째 시기인 2005년 1년간 한국 경제는 5% 성장세와 10%의 수출 증가율을 기록했다.

한은이 얼마나 빨리 대응할지도 미지수도.

금융계에 따르면 한은 금리인상 직후 주요 해외 IB 8곳 가운데 4곳은 내년 상반기에 한은이 금리를 또 올린다는 전망을 내놓았다.

이 중 2곳은 시기를 내년 2분기로 제시했다.

하지만 시기적으로 내년 상반기 금리 인상이 쉽지 않다는 관측도 있다. 이주열 총재가 물러나고 새로운 총재가 취임 직후인 4월 12일에 금통위를 주재한다. 그 다음 금통위는 6월 지방선거를 앞둔 5월 24일에 열린다.

JP모건 임지원 이사도 금통위 후 코멘트에서 "추가 금리인상 시기를 2분기 후반 보다 3분기 초 가능성을 더 높게 본다"며 지방선거와 새 총재 취임 등을 언급했다.

◆ 금융 시장 혼란 초래할 가능성 낮아



하지만 자본시장은 다르다. 지난 2005년 한·미 간 기준금리가 역전되자 그해 7월까지 코스피 시장에서 2조원 가량 순매수하던 외국인은 금리 역전을 기점으로 8월부터 5조원 순매도로 돌아섰다. 이어 2006년 10조원, 2007년엔 24조원 이상의 외국인 자금이 썰물처럼 빠져나갔었다.

LG경제연구원은 최근 보고서는 "한미 간 금리 역전이 예상되면서 자본유출 우려가 제기되지만, 금융시장 및 경제에 혼란을 야기할 정도의 대규모 자본유출이 발생하지 않을 전망"이라며 "자본 유출입은 금리 차 외에도 환율에 대한 예상에 크게 좌우된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나라는 대규모 경상수지 흑자 및 충분한 외환보유액 등으로 대규모 자본유출을 유발할 정도의 일방적인 원화절하 기대가 형성될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설명했다.

정민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미국의 통화정책 정상화는 이미 예견된 상황에서 점진적으로 시행된다면 파급 영향은 제한적이지만 시기와 속도에 따라 불확실성이 크다"며 "글로벌 통화정책 정상화 추세에 맞춰 국내 기준금리 인상을 적극적으로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한미 간 금리역전이 발생할 경우 국내 외국인 투자자본의 유출이 예상되는 만큼 충분한 외환보유액을 유지하고 통화스와프도 확충하는 등 대비가 필요하다"면서 "가계부채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도 금리 인상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