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오피니언>칼럼

[김필수의 차이야기] 현대차 등 위기의 국내 자동차 산업…'해결책은 없는가?'

김필수 대림대학교 자동차학과 교수.



현대차를 비롯해 국내 자동차 산업이 심상치가 않다. 물론 국내 경기가 별로 좋은 상황이 아니고 북핵 등 주변 상황도 악조건이 누적되어 전체적인 상황도 좋지 않다.

이중 다양한 악재가 더욱 누적된 자동차 분야의 문제점이 부각되면서 위기로 치닿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우선 기아차의 통상임금 문제는 다른 분야에 끼치는 영향 측면에서 대법원 판결에 모두가 집중된 상황이다. 노조의 손을 들어줄 경우 소급 적용되어 약 3조원이 비용이 더 지불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최근 기아차의 영업이익률은 3%대로 떨어져 최악의 상태인 만큼 통상임금 문제까지 패소한다면 후반기 시장은 분명히 적자로 될 가능성이 크다. 일반적으로 글로벌 메이커의 영업이익률은 약 6~7%가 일반적이고 BMW 등은 약 11%에 이를 정도로 최고의 수익률을 기록하고 있다. 더욱 큰 문제는 한국지엠 철수설이다.

이미 국내 여러 공장 중 군산공장의 위기를 우선 거론하고 있다. 벌써부터 신모델에 대한 주문이 줄어 공장은 상당 부분 쉬고 있는 상태다. 지엠 본사 자체가 글로벌 시장 경영측면에서 워낙 경쟁력이 떨어지는 공장은 폐쇄하거나 축소시키는 경향은 한두 사례가 아니다.

독일의 오펠이나 호주 홀덴사는 물론이고 유럽에서 쉐보레 브랜드 철수 등 다양한 사례는 비일비재하다. 최근 이유 없이 대표이사가 사직하고 새로 임명된 대표이사의 전력 등 다양한 이슈가 고민을 더해가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오는 9월 15년 의무 경영 기간도 끝나고 산업은행의 지분 매각 등 다양한 주제까지 겹치면서 한국지엠의 위기설은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판단된다.

노조파업 결의도 심각한 위험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이미 노조파업은 연례행사이고 가장 심각한 암적인 요소라 할 만큼 심각한 산업적 고민을 안겨주고 있는 사안이다. 고비용 저생산 구조에서 무조건적인 노조의 요구는 심각한 국민적 저항을 나타내고 있다. 이미 선진국 대비 고비용 저생산 구조는 향후 우리나라의 경쟁력 약화의 대표적인 악재로 나타날 만큼 심각하기 때문이다.

이미 국내 5개사 중 3개사가 노조파업을 결의해 폭풍전야다. 해외 시장도 좋지 않기는 마찬가지이다. 사드발 중국 시장의 반토막 판매는 계속 진행되고 있다. 현대차 그룹의 중국 시장의 경우 지난해 대비 47%가 줄어들어 메이커보다도 동반 진출한 부품기업의 위기는 더욱 커지고 있다. 전통적인 미국 시장의 경우도 약 7~8%이상 줄면서 경쟁력 제고가 요구되고 있다. 여기에 신시장 개척은 답보상태이고 향후 미래 활로가 보이지 않고 있다.

현대차 그룹의 경우 내부적인 패러다임 전환도 요구되고 있다. 32건의 내부 고발자 사안도 아직도 진행 중이고 인터넷 상에서 현대차 그룹의 부정적인 인식은 더욱 커지고 있어서 향후 국내 시장도 별로 좋지 않기 때문이다. 이후 진행되는 한미FTA의 재협상 문제는 미국시장을 더욱 어렵게 만들고 있다.

이렇게 모든 악재가 누적된 국내 자동차 업계는 한꺼번에 해결하기 보다는 하나하나 방법을 찾아야 한다. 우선 노사분규 문제이다. 무리한 요구를 일삼는 노조에 대하여 사측에서 땜질 처방으로 매년 받아주다 보니 이제는 경영상의 문제까지 노조가 개입하는 모양새다.

이유 불문하고 노사 양측이 한 걸음 뒤로 물러서야 한다. 정부는 적극 개입해 자동차 분야 노사정 위원회 가동을 활성화시켜야 하고 양보하는 자세가 중요하다.

결국 해외 공장 이전이 가속화되어 급격하게 국내 시장이 붕괴되는 악순환이 반복되지 않기를 바란다. 예전에 필자가 언급한 현대차 그룹 해외 생산 70% 이상의 시장으로 바뀌지 않기를 바란다. 또 충분히 14~15%의 시장 점유율을 가질 수 있는 역량을 갖추고 있는 한국지엠은 차종별 연구개발 능력을 보유한 R&D 센터를 두어 안정적인 역할모습을 본사에 보여주어야 한다.

지금의 8월 자동차 산업 위기를 하루속히 해결해 위기를 기회로 만드는 슬기롭고 과감한 결단이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국민의 걱정스런 주름을 펴주기를 긴절히 바란다. 지금이 바로 모두가 힘을 모아야 하는 시기이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