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경제>경기동향

7거래일 간 2조1천억 매도...외국인 이탈 가속화?



아시아 7개국 외국인 누적 순매수



지정학적 리스크에 한국 금융권의 불안감도 커지고 있다. 주식시장에서 외국인들이 빠르게 자금을 회수하고 있고, 채권시장에서는 외국계 큰 손이 발을 빼고 있다. 1차 배경은 주가상승에 따른 차익실현과 환차손을 우려한 손절매 성격으로 해석된다.

문제는 앞으로도다. 눈앞에 터진 지정학적 리스크다. 지난주 발간된 이코노미스트는 표지에 '일어날 수 있다(It could happen)'란 제목과 함께 커다란 핵구름 사진을 실었다. CNN이나 BBC, 파이낸셜타임즈 등 주요 외신들도 북한 관련 리스크와 트럼프 대통령의 제재를 비중있게 다루고 있다.

또 다른 리스크 가운데 하나는 미국의 금리인상이다.

"'비교적 가까운 시일(relatively soon)' 안에 보유자산 축소를 시작하겠다."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 옐런 의장은 지난달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금리인상 시점을 구체화했다. 정부는 자산 건전성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1997년 외환위기 등 가계·기업의 부채 문제가 금융회사들의 부실로 이어진 선례가 많기 때문이다.

◆ IT업종 조정에 하락, 재등장한 지정학적 리스크와 외국인

6일 국제금융센터와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외국인은 지난달 24일 이후 매수·매도를 반복하는 동안 7거래일 동안 2조1000억원 가량을 팔아치웠다.

배경이 뭘까. 코스피의 높아진 밸류에이션과 삼성전자 등 IT업종의 가격 조정 때문이다.

삼성전자의 코스피 시가총액 비중은 20%를 넘나 든다. 하지만 지난 4일 238만5000원으로 사상 최고가를 찍은 지난달 20일보다 7.05% 하락했다. 반도체가 이끈 IT 대형주의 사상 최대 실적이 부메랑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흘러나와서다. 이르면 연말부터 반도체 공급과잉 문제가 불거질 수 있다는 우려에 외국인 투자자들이 매우 민감하게 반응한 것.

코스피 흐름도 삼성전자 등 IT주의 흐름에 출렁이고 있다.

"삼성전자 주가가 올라가는 한 코스피가 떨어질 일은 없으니 마음 놓으셔도 돼요."

증권사의 프라이빗뱅커(PB)들이 최근 고객에게 건네는 말이다. 삼성전자가 한국 증시의 대표종목이 된 지는 오래다. 최근엔 대표를 넘어서 아예 코스피와 '한 몸'이 됐다. 그만큼 꼬리가 몸통을 흔들 가능성이 커진 것이다.

신한금융투자 노동길 연구원은 "과거 삼성전자 시가총액 비중이 20%를 넘었을 때 비중 상승은 둔화됐다. 다만 삼성전자 비중 상승 속도 둔화 혹은 하락이 반드시 주가 하락을 의미하지는 않는다"면서도 과거 삼성전자가 시가총액 비중 20% 이상에서 반락때 평균 8.1%포인트 비중이 떨어진 점을 지적했다. 다만 현재 상황과 유사한 2004년 때 코스피는 1.5% 상승했다.

JP모간은 "역사적으로 변동성이 낮고, 주가가 상승장에서 또 다른 전환점에 접근할 가능성이 있어 위험 회피(헤지)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문제는 앞으로다. 지정학적 리스크가 점증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동안 증시는 지정학적 리스크에 둔감했다. 핵실험이 한국 증시의 펀더멘털을 훼손할 정도의 악재가 되지 않았다. 북한이 처음 핵실험을 실시했던 2006년 10월 9일에는 코스피가 2.41% 급락했다. 하지만 이후 2009년, 2013년, 2016년 등 세 차례에 걸친 핵실험 때는 당일 지수 하락률이 0.2%대에 그치는 등 영향이 크지 않았다.

한국투자증권 송승연 연구원은 "대부분의 경우 10거래일 내에 대부분의 지표는 이벤트 발생 전으로 회귀했다"면서 "다만 외국인 투자자들의 경우 10거래일이 지나도 순매도세를 유지하는 경우가 더 많이 관찰됐다는 점에서 주의할 필요가 있다. 여전히 코스피는 외국인 투자자의 방향성과 깊은 연관이 있다"고 말했다.

◆ 한미 금리 역전때는 외국인 이탈 우려

또 하나의 우려는 미국의 금리 인상가능성이 한층 높아졌다는 점이다. 지난 7월 미국의 비농업부문 고용은 시장 예상을 대폭 웃돈 증가세를 나타냈고, 실업률과 임금상승률은 기대에 부합했다.

미국이 금리를 올리면 외국인이 발을 뺄 가능성이 있다. 현재 미 기준금리는 1.00~1.25%로 상단이 한국과 같지만 금리인상이 단행되면 한미 금리가 역전된다.

외환위기 직후인 1999년 6월~2001년 3월, 그리고 신용카드 사태 직후였던 2005년 8월~2007년 8월에 한미 기준금리 역전현상이 나타났다. 하지만 한국경제에 큰 충격은 없었다. 현대경제연구원에 따르면 1차 역전 시기에 한국의 평균 경제성장률은 11%, 수출 증가율은 20%를 기록했다. 두번째 시기인 2005년 1년간 한국 경제는 5% 성장세와 10%의 수출 증가율을 기록했다.

하지만 자본시장은 다르다. 지난 2005년 한·미 간 기준금리가 역전되자 그해 7월까지 코스피 시장에서 2조원 가량 순매수하던 외국인은 금리 역전을 기점으로 8월부터 5조원 순매도로 돌아섰다. 이어 2006년 10조원, 2007년엔 24조원 이상의 외국인 자금이 썰물처럼 빠져나갔었다.

더 큰 문제는 한국경제의 뇌관인 1400조원 규모의 가계부채다. 미국이 금리를 올린다면 국내 시장금리 상승세에 속도가 붙어 가계부채가 더 심각해질 수 있다. 한국은행은 대출금리가 0.5%포인트 오를 때 가계의 이자 부담은 연간 4조6000억원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의 전망은 한국경제의 체력이 튼튼해져 큰 영향이 없겠지만 미리 대비해서 나쁠 게 없다는 지적도 있다.

LG경제연구원 이창선 수석연구위원은 "미국의 금리 인상으로 국내 시중금리가 상승 압력을 받으면 기업과 가계의 대출금리가 오를 것"이라며 정책당국이 시중금리 안정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