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오피니언>기자수첩

[기자수첩] 발가락이 닮았다



"발가락 뿐 아니라 얼굴도 닮은 데가 있네."

김동인의 소설 '발가락이 닮았다'에서, 의사인 주인공은 친구 M에게 이렇게 말하며 고개를 돌린다.

아내의 외도로 낳은 아들을 끌어안은 M은 기대와 의혹 가득한 눈으로 주인공을 바라본다.

다음달부터 법원의 1·2심 판결을 TV로 보는 시대가 열린다. 국민들은 박근혜 전 대통령의 불편한 걸음과 표정에서 자신의 닮은 구석을 찾을지도 모른다.

박 전 대통령은 2007년 대선 출마를 알리며 내놓은 90문 90답에서 나라와의 결혼을 선언했다. 소설 속 M의 친구들처럼, 국민도 그의 혼인에 놀랐다.

5년 뒤 인생의 동반자는 태어날 자녀의 이름을 창조경제와 문화융성이라고 지었다.

아이는 전혀 다른 모습으로 태어났다. 문화융성이라던 자식은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로 불리며 판결을 기다린다. 창조경제라던 녀석은 대기업 뇌물이란 오명으로 법정을 드나든 지 오래다.

박 전 대통령은 왼쪽 발가락이 아파 한동안 법정에 나타나지 못했다. 숙면은 물론이고 신도 편히 신지 못했다.

발가락이 닮았다. 지난 정권에서 좌편향으로 지목된 예술가들과, 최순실을 엄마로 두지 못한 또래들은 정유라와 같은 운동화를 신지 못했다.

결국 짚신을 신던 왼쪽 발이 부었다. 절룩거리던 광화문은 생각했다. 신발을 바꿔 신자.

얼굴도 닮은 데가 있다. 기대와 우려 섞인 방청객의 표정이 '피고인 박근혜'의 입장을 닮았다. '우리의 결혼은 최순실과의 외도로 끝나지 않았다.' '창조경제는 사생아가 아니다.'

한 방청객은 24일 그를 향해 "옥체 보전하세요"를 외쳤다. 자신을 "망한 왕조의 도승지"에 비유한 김기춘 전 대통령 비서실장과 같은 나라 백성의 표정으로.

서로 다른 구석을 닮은 우리는 기나긴 재판 앞에 고개를 돌려선 안 된다. 우리 중 누군가는 왜 그의 발가락을 닮았어야 했는지를 기억해야 한다. 피고인의 심정을 닮은 얼굴과 함께 웃을 미래를 위해서라도.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