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증권>시황

[주주중시 경영시대]④진정한 주주가치는 상생에서

주주환원은 주주와 기업 간 상생이 우선 돼야 한다는 지적이 많다.

자사주 소각이나 배당이 진정한 의미의 '의리'는 아니라는 지적이다. 전문가들은 기업이 주주에게 진정한 의리를 지키는 방법은 실적과 지배구조 투명화로 화답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삼성 통해 본 주주환원 '주주 이익=기업 이익'

2015년 7월 17일 서울 양재동 aT센터. 삼성물산과 제일모직 합병 임시주주총회가 열렸다. 삼성물산 소액 주주 등 69.53%의 주주가 합병에 찬성했다. 예상 밖 압도적 찬성이다. 이로써 삼성과 미국계 헤지펀드 엘리엇 매니지먼트 간 44일간의 피 말리는 전투도 일단 막을 내렸다. 같은 시각에 열린 제일모직 주주총회에선 합병안이 만장일치 박수로 의결됐다. 삼성그룹은 자사주 소각 배당 등으로 주주들에 화답하고 있다.

삼성은 물론 다른 기업들에게 시사하는 바가 적잖다.

지금껏 많은 기업들이 지배구조 개편 과정에서 소액주주의 반대에 부딪혀 적잖은 돈을 쏟아 부었다.

주주들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지 않은 탓이다.

전문가들은 외국자본의 유치나 해외 자금조달 측면에서도 주주중심 경영은 중요하다고 얘기한다. 기업들의 디스카운트를 완화되고, 프리미엄을 높일 수 있어서다. 한국 등 아시아의 경우 주주가 아닌 가족 경영 및 정부소유 비중이 높아 기업 가치 평가 시 디스카운트 요소로 작용한다. 환경·사회·거버넌스(지배구조)가 좋은 기업 투자하는 펀드인 사회책임투자(SRI)의 자산 비중이 0.8%로 유럽(53%), 캐나다(38%), 미국(22%), 일본(3%)에 비해 현저히 낮다.

2016년 6월 스튜어드십 코드를 도입한 대만이 좋은 예다. 하나금융투자 이재만 연구원은 "대만 기업 거버넌스 100지수는 상대적으로 높은 수익률을 유지했고, 디스카운트 돼 있던 대만 지주회사들의 PER이 최근 들어 빠르게 재평가 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대만 3대 지주회사의 가권지수 상대 PER은 2016년 74% 수준에서 2017년 96% 수준까지 높아졌다는 점이 이를 반증한다.

하지만 '주주 독재'는 경계해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스튜어드쉽 코드'와 '다중대표소송제'는 기업들에게 적잖은 변화를 강요한다. '탐욕의 약탈자'로 불리는 벌처펀드가 한국시장에서 '주주 행동주의'(스튜어드십 코드 도입에 따른)라는 명분으로 활개를 칠 무대가 만들어 지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 말레이시아, 홍콩, 대만, 싱가폴, 한국 등 아시아 지역에서는 스튜어드십 코드 도입 확산으로 행동주의 투자펀드의 타깃이 되고 있다. 2015년 행동주의 투자펀드 아시아 타깃 기업 수는 전년대비 85% 증가했다.

신장섭 싱가포르 국립대 교수가 기업사냥꾼과 기관투자자에 복속된 경영자들이 주주가치 극대화를 적극적으로 추구한 결과 2005~2014년 미국 비(非)금융기업에서 연평균 3660억 달러(약 421조원)의 돈이 자사주매입과 배당, 조세회피 목적으로 유출됐다.

◆ 진정한 주주가치 제고는 실적과 성장

자사주를 매입하고, 배당을 한다고 주주가치가 올라갈까.

많은 전문가들은 "아니다(No)"고 답한다. 진정한 의미의 주주친화정책은 실적과 성장에 있다고 한목소리를 낸다.

지배구조를 보다 투명하게 해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한국기업지배구조원이 지난해 9월 상장사 712개사를 대상으로 기업지배구조를 평가한 결과, 취약 수준(B등급 이하)에 해당하는 기업이 77.2%를 차지했다. 또 전체 상장사 중 올해 들어 32개사의 등급이 추가 하향됐다.

기업지배구조원은 "유엔이 지속가능발전목표를 채택하고 아시아지역에서 사회책임투자가 확산하는 등 기업 지속가능성에 대한 관심은 거스를 수 없는 추세"라며 "국내 상장사들도 지속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적극적인 노력을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공정위도 지배구조 선진화에 팔을 걷고 나섰다.

김상조 공정거래위원장은 지난 6월 2일 국회 정무위원회 인사청문회 모두발언에서 "일부 대기업집단의 경제력 집중과 총수일가 중심 지배구조는 우리 경제의 활력을 떨어트리는 중요한 요인"이라며 "특히 일감몰아주기, 부당내부거래, 부당한 부의 축적과 편법적 경영승계로 이어질 뿐만 아니라 중소기업·소상공인 사업영역에 침범해 기업 성장생태계를 무너뜨리고 양극화를 심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고 밝혔다.

이어 "이런 잘못된 관행을 엄정하게 근절할 것"이라면서도 "이런 어떤 조치들을 조급하고 충격적인 조치들로 실현할 생각을 갖고 있지 않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지속가능하고 시장감시가 함께 작동하며, 여러 제도 간 보완이 이뤄질 때 가능하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