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정치>청와대

사드 문제 해결 나선 文대통령…시진핑 中주석 통화

문재인 대통령이 11일 청와대 집무실에서 중국 시진핑 국가주석으로부터 걸려온 대통령 당선 축하 전화를 받고 있다. /뉴시스



북한의 미사일 도발로 촉발된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배치 문제를 놓고 갈등을 빚어 왔던 한국과 중국이 문재인 대통령의 취임을 계기로 새로운 전환점을 돌 것으로 전망된다.

문재인 대통령이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과 전화통화를 통해 대북 문제를 포함한 양국간 현안에 대해 생각을 나누면서 이 같은 전망이 나오고 있다.

특히 양국의 정치적 갈등이 중국에 진출한 한국 기업이나 한국을 방문하는 중국 관광객들에게까지 미치면서 정치·경제에 이어 '반국가 감정'으로 확산되는 양상을 보이던 가운데, 한국의 정권 교체가 새로운 국면해결의 실마리가 될 것이란 기대감이 확산되고 있다.

문 대통령은 11일 시 주석의 취임 축하전화를 받았으며, 통화는 정오부터 40여분간 이뤄졌다.

이번 통화에서 양국 정상은 중국의 '보복'이 진행되고 있는 원인인 주한미군 사드 배치 문제에 대해서도 어느 정도 공감대를 형성한 것으로 알려졌다.

우선 문 대통령은 "북핵 문제 해결은 포괄적·단계적으로 하며 압박·제재와 협상을 병행해야 한다"면서 "북한에 대한 제재도 궁극적으로 북한을 핵폐기 위한 협상장으로 이끄는 게 목표"라며 북핵 문제에 대한 소신을 밝혔다.

이에 시 주석은 사드 배치에 대해서는 여전히 반대하는 입장을 밝히자, 문 대통령은 "사드 배치와 관련한 중국의 관심과 우려를 잘 안다"며 "이에 대한 이해를 높여가며 양국간 소통이 조속히 이뤄지길 희망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중국에 진출한 한국 기업에 대한 제재가 원만히 해결되도록 관심을 부탁한다"며 "(사드 문제 논의를 위한) 특사를 파견하겠다"고 제안했다.

이러한 문 대표의 제안에 시 주석도 공감과 동의를 표시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일단 양국은 이른 시일내 특사를 교환하기로 하고 시 주석은 문 대통령의 베이징 방문을 공식 초청했다.

아울러, 이날 통화에서 시 주석은 '구동화이'(求同和異·공동의 이익을 추구하며 공감을 확대)를 강조하며 "중국과 한국은 가까운 이웃이자 지역 내 중요한 국가"라면서 "한중 양국은 수교 25년 동안 중대한 성과를 거뒀고 이를 소중히 여겨야 한다. 양국은 수교 당시 초심으로 돌아가서 상호 중대한 관심 사안과 정당한 이익을 존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문재인 대통령은 이날 시 주석과의 통화 이후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도 취임후 첫 전화통화를 하고 지난 2015년 '위안부 합의'와 북핵 대응 등 양국간 현안을 논의했다.

문 대통령은 위안부 합의를 비롯한 과거사 문제와 관련, 아베 총리에게 "양국이 성숙한 협력 관계로 나아가는 데 있어 과거사 문제 등 여러 현안이 장애가 되지 않게 역사를 직시하면서 이런 과제들을 진지하게 다뤄나가야 될 것"이라고 말했다고 청와대가 전했다.

이에 대해 아베 총리는 위안부 합의에 대해 "미래 지향적인 한일간계 구축을 위한 기반으로 착실히 이행하길 기대한다"는 기본입장을 피력했다.

문 대통령은 특히 "우리 국민 대다수가 정서적으로 위안부 합의를 수용하지 못하는 게 현실"이라며 "민간 영역에서 일어난 문제에 대해 정부가 해결하는 건 한계가 있어 시간이 필요하다"고 지적하고 "그런 국민의 정서와 현실을 인정하면서 양측이 공동으로 노력하자"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그러나 통화에서 위안부 합의 재협상을 직접 언급하지 않았다고 배석한 청와대 관계자가 전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