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여행/레져

[우헌기 터키 자전거 여행] 35일차, 사소한 공짜가 사회를 병들게 한다

아름다운유산 우헌기 이사장의 기부 마라톤 수기를 메트로신문이 생생하게 전달합니다.

2017.5.1 -> 아프욘카라히사르

사진/아름다운유산 우헌기

>

4시 15분경 도착했다. 내일 나갈 방향으로 호텔이 있어 일단 그쪽으로 출발했다. 한 7~8km 나가니 호텔이 있긴 한데 비싼 것뿐이다. 5성호텔이다. 되돌아가기도 뭣해서 값이라도 물어보자고 들어갔다. 150리라(4만 5천 원)이고, 할인은 안 된다고 했다. 저녁 포함하면 185리라(54,150원)이다. 정확하게 이야기하면 호텔이라기보다는 휴양용 리조트다. 커다란 정원, 야외 수영장, 스파, 터키식 사우나, 알로마 테라피, 멋진 식사 등.

짐을 풀어놓고 사우나를 먼저 했다. 목욕탕은 두 번째인데도 여전히 서툴다. 옷을 입고 탕에 들어가는 것 때문에 헷갈린다.

화려한 색상에 대담한 디자인의 옷을 입은 젊은 여성 몇 명이 호텔에 들어섰다. 이 나라 남녀 모두 옷 색깔은 어두운색이다. 원색 옷은 거의 없다. 여성들은 머리에 두르는 것(Turban)에 여심을 표현하는 것같다. 눈만 내놓고 전신을 검은 옷으로 두르는 여성도 없진 않지만, 밝은 색상에 무늬가 들어 것(스카프)을 두르는 여성들도 많다.

사진/아름다운유산 우헌기(호텔로 들어서는 여성들)

>

감기 기운이 있어 약을 4번 먹었다. 종합 감기약이라 많이 독했다. 막아도 막아도 어떻게 알고 스며드는 연탄가스처럼 은근슬쩍 자리 잡으려는 감기를 초기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는 방법은 이 게 최고다. 아직은 목이 좀 칼칼하지만 초기 대응은 일단 성공이다. 이제부턴 시간이 걸린다.

굳이 여기까지 올 필요는 없었다. 여행사가 여길 집어넣지 않은 덴 다 이유가 있다. 셀죽에서 일상의 행복을 며칠 더 누렸더라면 더 좋았을 텐데... 그러나 '페티에에 가봤더니 별거 아니더라'라는 걸 확인한 것도 수확이라면 수확이다.

이른 새벽 시외버스를 타고 옛 유적지를 방문할 계획이었는데 일정을 바꿨다. 가파른 산맥이 있는 이 지역에 있었을 옛 도시의 규모는 에페스에 비교할 수 없을 것이다. 에페스 유적을 보기 전이라면 어떨지 몰라도 본 뒤라 실망할 거같았다.

중앙 아나토리아 고원의 아프욘카라히사르로 다시 간다. 지난번에 파묵칼레에서 버스로 갔었던 곳이다. 그땐 그곳에서 동쪽으로 달렸다. 이번엔 서쪽으로 갈 곳이다.

사진/아름다운유산 우헌기(어린이 놀이터와 넓은 정원)

>

그 지역엔 기원전 11세기 프리기아인들이 소아시아에서 옮겨와, 지금의 아프욘, 앙카라, 에스키세히르 지역에 살았다. 그들이 세운 프리기아 왕국은 기원전 7세기 캅카스 지역에서 이주해온 키메르인들에게 멸망당했다. 이후 이 지역은 화산 폭발로 분출된 용암에 묻혀버렸다.

터키에는 옛 문명을 잇는 트레일이 여럿 있다. 페티에(올루데니즈 해변)에서 시작하는 리키아 트레일(Likian way. 500km), 사도 바울의 선교 여행 지역을 잇는 사도 바울 트레일(St. Paul way, 500km), 프리기아 트레일(400km) 등이 있다. 프리기아길(Prigian way, 400km)은 아프욘과 앙카라 등 3군데에서 출발하여 프리기아 계곡에서 만난다.

터키 여행에서 가장 성가신 건 화장실 사용이다. 어디든 유료다. 심지어 모스크 화장실도 돈을 받는다. 보통 1.5리라(450원)를 받는다. 동전을 항상 준비하고 있어야 한다. 처음엔 유료인 것 자체에 대한 거부감이 있었지만 차츰 적응되어 갔다. 유럽에서 화장실 사용료를 받는 건 흑사병 이후로 알고 있다. 이 병의 창궐로 사회 시스템이 붕괴되고 못 먹고사는 사람들이 넘쳐나자 일자리 창출 차원에서 돈을 받기 시작했다고 한다.

사진/아름다운유산 우헌기(무료 화장실 있는 휴게소)

>

연원이야 어찌 되었든 아무리 사소한 것도 대가를 내야 한다는 인식을 갖게 한다는 건 비람직하다. 우리나라 고속도로 화장실을 보자. 웬만한 호텔 수준의 시설을 해두고서 무료로 이용하게 한다. 무료라고 이용자가 고마워하거나 아껴 쓰는 것도 아니다. 이건 재고할 필요가 있다. 이건 영업 전략과는 다른 시각에서 바라볼 필요가 있다.

살기 더 번잡하게 만들자는 건 아니다. 우리나라엔 이런류의 공짜가 많다. 대표적인 게 지적재산을 돈 주고 사는 것은 아깝다고 생각한다. 나 역시 마찬가지다. 공짜는 개발자도 이용자도 다 골병들게 만든다.

이젠 일상생활에서 이런 사소한 공짜를 없애는 걸 진지하게 생각해볼 때가 됐다. 여러 분야에 산재해 있는 무임승차를 줄어야 한다. 그래야 공정한 사회에 한발 더 다가갈 수 있다.

반면 정반대의 악습도 있다. 공사장이면 억지 주장들이 난무한다. 각종 현수막이 나붙고. 오죽하면 '시체 장사'한다는 말까지 나올까. 자기 것은 악착같이 챙기면서 남의 것은 그저 먹으려는 것은 균형에 도 맞지 않고 공정하지도 않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