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경제>경제정책

은행 빚 폭탄에 허리 휜다...대우조선 충당금에 530조 가계부채까지

은행별 기적립 충당금 및 추가충당금 적립규모 추산 자료=유안타증권



"기업대출이 어느 순간 계륵(鷄肋) 같은 존재가 됐다. 앞으로가 더 걱정이다. 경기가 어두운 상황에서 대우조선해양 사태 등으로 크레딧 리스크가 다시 확산된다면 대손충당금을 얼마나 더 쌓아야 할지 가늠하기조차 어렵다." (시중은행 A부행장)

시중 은행들이 충당금 폭탄을 맞게 됐다. 대우조선이 단기 법정관리인 P플랜(Pre-packaged Plan)에 들어갈 가능성이 커지고 있어서다. 법정관리와 워크아웃이 합쳐진 프리패키지드플랜(P플랜)에 들어가면 시중은행의 충당금 부담액이 9878억원에 달할 것으로 추산된다.

가계 부채도 걱정이다. 미국이 금리를 올리면서 가계부채 문제는 자칫 금융권 시스템 리스크로 확산될 수 있다는 점에서 결코 가볍게 넘길 수 없는 사안이다. 특히 자영업자 등 고금리 대출을 받는 이들이 늘면서 가계부채의 질은 더욱 나빠졌다.

◆좀비기업에 발목 잡힌 은행

11일 은행권에 따르면 시중은행의 대우조선해양 위험노출액을 1조7891억원이다. KEB하나은행이 7144억원으로 가장 많다. 이어 KB국민은행 5129억원, 신한은행 3098억원, 우리은행 2337억원 규모다.

김인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원만하게 합의가 이뤄진다면 은행의 추가 충당금적립액은 4411억원으로 예상했다.

그러나 합의안 부결로 법정관리와 워크아웃이 합쳐진 프리패키지드플랜(P플랜)에 들어가면 시중은행의 충당금 부담액이 9878억원에 달할 것으로 분석했다. 은행별로는 KEB하나 4989억원, 국민 2750억원, 신한 1270억원, 우리 429억원, JB 161억원, BNK 92억원 등이다.

대신증권도 워크아웃 진행 시 충당금 적립률은 현재의 15.3% 수준에서 60∼70% 수준으로 상향 조정돼 대우조선 관련 위험 노출액이 큰 하나금융과 KB금융의 충당금 부담이 상당할 것으로 우려했다. 우리은행은 이미 충당금 적립률이 58.4%에 달해 상대적으로 부담이 덜할 전망이다.

은행들은 볼멘 소리를 한다. 쌓아야 할 충당금이 늘어날수록 은행권 자산건전성 비율은 떨어질 수밖에 없어서다.

국내 은행들이 떠안고 있는 기업 부실채권은 2016년 말 기준 22조8000억원 규모다. 기업여신의 부실채권 비율은 2.06%다. 2012년 말(1.6%)에 비해 여전히 높다. 특히 조선업(11.20%) 해운업(5.77%) 철강제조업(4.09%) 등 일부 업종의 부실채권 비율이 높다. 부실이 한꺼번에 터질 가능성은 크지 않다. 하지만 은행은 기업 신용위험(Credit Risk)의 불똥이 튈까 봐 걱정이다. 신규 자금지원 등으로 채권은행들이 새로 쏟아부어야 할 돈은 눈덩이처럼 불어난 반면, STX 등의 사례처럼 돈 받기가 갈수록 어려워져서다. 또 시중은행의 위험노출(익스포저·Exposure)은 겉으로 잘 드러나지 않는다. 기업 여신에는 기한부어음(Usance) 등과 같은 안전 여신도 섞여 있다.

은행 입장에서는 '돈 먹는 하마'와 같지만 큰 손(대기업)을 버리기도 어렵다.

시중은행 한 관계자는 "그물망을 촘촘히 짜도 빠져나갈 구멍이 많다. 정량적 잣대는 한계가 있다"면서 "2017년 이후 대출성장률이 저하될 가능성이 존재하고, 위험업종에 대한 구조조정 등 대손부담 확대 가능성은 부담요인이다"고 전했다.

채권단 한 관계자는 "부실 계열사에 대해 지원을 해야 하는 기업의 주주, 채권자로서는 달가울 리 없다"면서 "특히 몇몇 대기업의 경우 지배구조 특성상 적은 지분으로 경영권을 유지하고 있어 부실 계열사 지원을 위한 의사결정이 역설적으로 다수 주주, 채권자의 부를 침해할 가능성도 있다"고 지적했다.

문제는 멀쩡한 기업까지 힘들어질 수 있다. 위험 대비용 비용이 늘어 정상기업에 돌아가야 할 돈이 줄어드는 자금경색이다.

◆530조 은행 가계빚, 부메랑 될라

김승호 씨(42)는 초등학교 3학년 딸을 둔 가장이다. 동료와의 갈등과 회사 생활에 대한 회의가 들던 지난해 4월 15년의 생활을 접고 사표를 던졌다. "뭘 해서라도 입에 풀칠은 하겠지"라며 큰 소리 쳤지만, 1년이 지난 지금은 후회막급이다.

지난해 8월 김씨는 김포시에 커피전문점을 차렸다. 15평 남짓 가게였다. 창업자금은 사회 초년 때부터 노후 대비로 들어 놓은 개인연금을 털었다. 퇴직금까지는 축내고 싶지 않았다. 대출은 물려 받은 아파트를 담보로 5년 만기, 연 4%대 변동금리로 대출을 했다. 매달 100만원 가까운 돈을 은행에 내야 했다.

처음에는 '내 사업을 하게 됐다'는 꿈이 컸다. 하지만 장사는 신통치 않았다. 주변에 문을 여는 가계마다 커피 전문점이었다. 아르바이트생 월급과 재료비 감당하기도 버겁다. 아직은 근근이 버틸 만하다. 하지만 벌써 재계약 시점인 8월이 걱정이다. "월세를 올릴게 뻔하다. 사업을 접자니 자칫 빚만 지게 생겼다"고 하소연했다.

시중은행의 돈 줄인 가계부채가 은행과 한국경제에 짐이 되고 있다. 경기 침체의 뇌관이 될 가능성이 높아서다. 박춘성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최근 연구문헌을 통해 본 우리나라의 가계부채와 소비'라는 보고서에서 "빠른 속도로 증가하는 가계부채를 억제하기 위해 급격한 디레버리징(부채 축소)을 추진할 경우 단기적으로 소비 감소가 초래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소비감소는 기업 생산과 고용 위축의 원이된다. 이는 다시 가계소득 감소 → 소비 위축 → 경기 불황 등 악순환 고리가 만들어진다.

지난해 가계부채가 사상 최대인 1344조3000억원을 기록했다. 증가액 역시 역대 최고. 가구당 7000만원꼴이다. 가율은 2006년(11.8%)에 이어 역대 2위다.

시중은행이 가계에 빌려준 돈은 전체대출의 절반이 좀 넘는다. 3월 말 현재 6대 주요은행(KB국민·신한·우리·KEB하나·NH농협·IBK기업)에 따르면 가계대출 잔액은 529조2440억 원이다.

장병화 한국은행 부총재는 최근 "가계부채가 일정 수준으로 넘어서면서 국내 소비와 성장을 제약하고 있다"고 걱정했다. 가계부채 임계치를 정확히 파악할 순 없지만 우리경제에서 가계부채가 이미 소비를 제약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는 얘기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