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증권>증권일반

로봇 자산관리 시대...증권가 '로보어드바이저' 전쟁

자료:유진투자증권



증권사들이 로보어드바이저(Roboadvisor)를 이용한 상품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로보어드바이저는 수수료가 저렴하고, 비대면 거래로 접근이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자산관리사(PB)의 업무를 대체함으로써 일자리가 줄어들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로보어드바이저는 로보(robo)의 자동화된 알고리즘 개념과 어드바이저(advisor)의 자산관리서비스가 결합된 용어다. 즉, 위험과 기대수익률을 자동으로 계산하는 알고리즘을 활용해 고객에게 적합한 투자 전략을 제안하는 자산관리 서비스다. 미국의 로보어드바이저 시장은 3000억달러 규모로 몸집이 커지고 있다.

◆증권가 로보어드바이저 전쟁

증권사들은 로보어드바이저 시대에 발맞춰 나가기 위한 준비에 한창이다.

키움증권은 로보어드바이저 기술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는 증권사 중 하나다. 지난 2015년부터 로보어드바이저 생태계 구축에 나섰고 그해 로보어드바이저 알고리즘 '로키원(ROKI1)'을 자체 개발했다. 이는 전 세계 국가별 금융 지표와 투자자산 모니터링을 통해 최적의 글로벌 자산배분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알고리즘이다. 올해 1월에는 국내 증권사 최초로 로보어드바이저 자문형 공모펀드 '키움 ROKI1 멀티에셋 로보어드바이저 펀드'를 출시했다.

NH투자증권도 국내 최초로 로보어드바이저 서비스인 'QV로보어카운트'를 개발했다. 이는 고객의 투자성향과 재무목표에 따라 최적의 투자대상과 매매전략을 제시할 뿐만 아니라 정기적으로 최적화 매매전략을 수정해 적용할 수 있도록 고객에게 자동으로 안내되는 시스템이다.

미래에셋대우 역시 지난해 로보어드바이저 시스템을 운영하는 자문사 총 4곳이 입점한 이른바 '로보어드바이저 마켓'을 증권업계 최초로 도입한 바 있다.

대신증권은 24시간 금융 고객 상담을 해주는 챗봇(채팅로봇) 서비스를 금융투자업계 최초로 도입했다.

이외에도 삼성증권(Pop Robo), 유안타증권(티레이더)를 비롯한 대부분의 증권사들이 로보어드바이저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한 연구를 이어나고 있다.

◆로보어드바이저의 성장과 그림자

증권사 담당자들은 로보어드바이저가 낮은 수수료 비용과 편리성을 바탕으로 글로벌 자산관리시장의 새로운 트렌드가 될 것으로 전망한다.

로보어드바이저 펀드의 수수료율은 평균 1.0%로 기존 자산관리서비스의 평균 운용수수료(1.8%)보다 저렴하다. 또한 최저 투자 금액에 제한이 없고, 비대면 채널로 거래가 간편하게 이뤄진다는 장점으로 최근 빠르게 유입되고 있는 젊은 투자자들을 상당수 흡수할 전망이다.

실제 미국의 자산관리업체인 웰스프론트(Wealthfront)의 경우 고객의 60%가 35세 이하 젊은 세대라고 밝힌 바 있다.

하지만 로보어드바이저의 성장은 필연적으로 인력 감축을 요구한다. 인공지능(AI)을 투자 시장에 도입하면서 IT기업으로 변모하고 있다는 평을 받는 미국의 투자은행 골드만삭스는 올 초 전체 직원의 6%에 해당하는 2000명을 해고한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영국 은행 로열뱅크오브스코틀랜드(RBS)는 로보어드바이저를 도입하는 대신 투자자문 부문에서 550명의 인력을 감축키로 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이에 대해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오히려 로보어드바이저의 등장은 투자자본의 파이를 키우면서 애널리스트들의 수요가 함께 증가하는 선순환 효과가 예상된다"며 "로보어드바이저의 발전이 인력 감축으로 이어진다는 것은 지나친 해석이다"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