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문화>영화

[스타인터뷰]장혁, 데뷔 21년 차 배우가 '악역'을 대하는 자세

배우 장혁/오퍼스픽처스



영화 '보통사람' 안기부 실장 규남 役 열연…23일 개봉

실감나는 악역 위해 말투·행동에 초점 맞춰

10년이면 강산도 변한다고 했다. 장혁이 배우로 살아온 시간은 20년. 강산이 두 번 바뀔 동안 그 역시 굴곡의 길 위에서 배우로, 또 배우로 거듭났다.

배우 장혁을 생각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이 바로 '액션'이다. 지난 2010년 방영된 KBS 2TV 드라마 '추노' 이후 그에게서 액션은 떼려야 뗄 수 없는 존재가 됐다. 선 굵은 연기와 짙은 감성 등은 배우 장혁이 가진 가장 큰 장점 중 하나일 것이다.

그러나 이번엔 다르다. 영화 '보통사람'에서 그는 정제된 말투와 최소한의 움직임으로 '절제의 미학'을 선보인다. 숨소리조차 허투루 내지 않는 그에게서 데뷔 21년 차 배우의 내공을 고스란히 느낄 수 있다.

최근 서울 종로구 팔판동의 한 카페에서 메트로신문과 만난 장혁은 "'보통사람' 촬영을 마친 지 3개월 정도 지났다. 그 사이 다른 작품을 찍고 마치고 하면서 역할의 옷을 완전히 벗고 객관적인 시각으로 영화를 볼 수 있었다"고 말했다.

"영화가 80년대를 배경으로 하잖아요. 당시 저는 아이에 불과했어요. 군부독재가 뭔지도 몰랐고 수류탄 냄새조차 맡아본 적 없거든요. 그저 MBC 청룡 유니폼이 입고 싶었고, 나이키가 최고였던 시절이었죠. 그런데 이번 영화를 찍으면서 '내가 그 시절 누군가의 아버지, 남편이었다면 어땠을까'하는 생각이 들었어요. 참 막막할 것 같더라고요."

배우 장혁/오퍼스픽처스



그래서 장혁은 '보통사람'을 두고 "먹먹한 영화"라고 표현했다. 그는 "울컥하고 뭉클하단 감상평을 많이 들었는데 저는 먹먹했다. 울컥과 뭉클이 기분 좋은 감동의 느낌이라면 먹먹은 '보통사람' 그 자체를 표현하는 말인 것 같다"면서 "관객의 입장에서 감동보다는 '저러면 안 되는데'하는 부분이 많지 않나. 가슴을 짓누르는 먹먹함이 바로 제가 본 '보통사람'이었다"고 말했다.

'보통사람'에서 장혁이 맡은 규남 역은 최연소 사법시험 합격자이자 안기부 실장으로 탄탄대로만 달려온 엘리트다. 군사독재 체제를 공고히 하는데 쓰일 공작에 앞장서는 인물로 목적을 위해서라면 타인의 삶을 망가뜨리는 것도 서슴지 않는다.

극중 성진(손현주 분)의 평범한 일상을 깨부수는 인물 역시 규남이다. 나라가 주목하는 연쇄 살인사건 공작을 주도하며 성진을 끌어들이고, 이 과정에서 두 사람은 대립각을 이루게 된다.

지독한 악역이다. 장혁은 "규남은 그 시기 시스템을 진두지휘했던 사람이다. 그래서 감독님이 '감정이 제어된 인물'로 표현했으면 좋겠다고 주문하셨고, 저 역시 동의했다"면서 "그럼에도 불구하고 규남 역시 보통 사람 중 하나라고 생각했다. 그래서 두 가지 포인트에서 만큼은 감정을 집어넣고 싶었는데 그게 시국선언 뒤 은사를 찾아간 장면과 맨 마지막 검사한테 취조를 당하던 장면이다"라고 설명했다.

"규남이 AI 인공지능 기계는 아니잖아요. 사람이거든요. 은사를 찾아간 장면도 그래요. 은사가 아닌 다른 사람이었으면 그냥 오라고 했겠죠. 은사이기 때문에 찾아간 거예요. 규남 나름대로의 예를 지킨 거죠. 연기를 하면서 '내가 나쁜놈인가'에 대한 고민을 많이 했어요. 결론은 이 사람 역시 시스템에 희생당한 인물이란 거였죠. 나쁜놈이긴 하지만요.(웃음)"

배우 장혁/오퍼스픽처스



'왜'라는 의문과 고민을 통해 만들어진 것이 바로 '보통사람'속 규남이었다. 배경을 만들어내고, 생각을 바로잡으며 완성해낸 인물인 만큼 단순한 악역으로만 비춰지는 것이 아쉽진 않았을까.

그러나 장혁은 "악역이 왜 좋게 보여야 하냐"는 단순명료한 대답을 내놨다. 그는 "악역이니까 나쁘게 보여야 하지 않나"면서 "규남이 왜 이렇게 됐나를 고민하면서 연민도 있었지만, 작품의 주제 의식과 이야기 구조 안에서 인물이 가지고 가야할 것이 분명했기 때문에 아쉽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장혁은 작품 외적인 면보다 인물 그 자체에 초점을 두고 있었다. 아쉬움을 느낄 새도 없이 오로지 인물에만 집중했던 만큼 그는 규남을 연기하면서 거듭했던 고민들을 끝없이 풀어내고 털어냈다.

"규남이 행동을 하는 인물은 아니에요. 지시체계의 위에 있는 사람이니까 급박할 필요가 없거든요. 굳이 강압적인 말투나 행동을 보이지 않아도 존재 자체가 두려운 인물이기 때문에 그런 면에 초점을 두고 말투나 움직임 하나에 신경을 많이 썼어요."

'보통사람'과 현 시국이 맞물린다는 의견도 지배적이다. 영화보다 더 영화 같은 현실과 진짜 영화가 교묘히 맞물려 있다는 점은 흥미롭다. 감독, 배우 누구도 의도하진 않았지만 말이다.

장혁은 복잡한 시국 속에서도 '그 시대'를 살던 이들에 대한 감사함을 잊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모순된 것들이 만연했던 사회가 바로 80년대에요. 그래서 작품을 찍으면서 참 많이 뭉클했어요. 최근 무대 인사 때 (정)만식이 형이 그런 말을 했거든요. '여기 나이 드신 어머님, 아버님들이 많이 계신데 그 시대를 살아주셔서 정말 감사하다'고요. 그게 참 마음에 남아요. 저 역시 그 분들에게 감사하다는 말씀을 전하고 싶어요. 혼란의 시대를 잘 살아주셔서 감사합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