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국제>산업

펄펄 나는 중국 광군제, 바닥 기는 한미 블랙프라이데이

한미중 3국 최대 세일행사 매출액 비교



2일 홍콩의 시장조사업체 펑글로벌리테일&테크놀러지에 따르면 2011년 중국 광군제 매출액은 9200억원, 같은해 미국 블랙프라이데이 매출액과 같았다. 2012년 광군제 매출액은 3조4500억원으로 4배 가까이 뛰었다. 미국의 블랙프라이데이 매출액은 소폭 오른 1조1500억원이었다.

이때부터 시작된 격차는 해를 거듭할수록 더 커져 2015년에는 광군제 매출액 16조4400억원, 블랙프라이데이 매출액 1조9500억원으로 비교 자체가 어려워졌다. 블랙프라이데이와 이어지는 사이버먼데이 매출액 3조5600억원을 더해야 그나마 비교할 맛이 난다. 그래도 3배 가까운 차이다.

24시간 할인행사 광군제가 열리는 11월 11일은 원래 중국 난징대학생들이 즐기던 '솔로들을 위한 날'이었다. 이를 온라인쇼핑공룡 알리바바가 미국의 블랙프라이데이를 본따 2009년부터 '솔로들을 위한 쇼핑축제'로 만든 게 광군제다. 역사나 전통이랄 게 없는 쇼핑축제라는 이야기다.

반면 미국의 블랙프라이데이는 미국의 최대명절인 11월의 추수감사절 다음날이다. 게다가 연말까지 이어지는 쇼핑시즌의 신호탄 역할까지 한다. 이처럼 의미가 큰 행사지만 매출액에서 광군제와 상대가 되지 않는다. 짝퉁이 진퉁을 훌쩍 능가해버린 것이다.

미국의 쇼핑축제를 따라한 게 중국만은 아니다. 지난해 메르스 사태로 인한 소비 감소를 타개하기 위해 한국도 코리아 블랙프라이데이를 처음 시작했다. 올해는 규모를 더욱 키우고 이름도 코리아 세일 페스타로 바꿨다.

그런데 아직은 신통한 결과를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지난해 10월 1~11일 11일간 열린 코리아 블랙프라이데이 매출액은 4조4500억원, 미중의 쇼핑축제와 비교하기 위해 11일로 나누면 하루에 4045억원 수준이다. 올해 33일간의 코리아 세일 페스타 기간 중 대규모 특별할인기간인 9월 29일~10월 9일 역시 11일간 매출액은 4조9000억원, 하루당 4455억원이다. 10% 가량 늘었다지만 광군제와 비교하기 민망한 수준이다.

알리바바는 올해 광군제 기간 23조원의 매출을 기대하고 있다. 목표를 달성한다면 지난해보다 40% 증가하는 수치다. 다만 올해는 하루가 아닌 24일간 진행된다는 점을 감안하긴 해야한다.

물론 광군제도 초반부터 대단한 성과를 보여준 것은 아니다. 2011년 매출액이 그랬다. 하지만 한국의 쇼핑축제도 광군제처럼 뻗어나갈 것이라 기대하기에는 부족한 점이 많다. 특히 행사 품목이 다양하지 못하고 할인폭(20~30%)이 일반할인이나 큰 차이가 없다는 게 가장 큰 문제다. 올해 코리아 세일 페스타를 기대하며 몰려든 쇼핑객들 사이에서는 "재고상품에 높은 가격을 붙인 뒤 할인하는 모양새만 냈다"는 지적이 많이 나왔다.

광군제는 상품에 따라 반값 판매까지 벌어지고, 올해의 경우 참여 브랜드가 4만개 이상이다. 이러니 택배업체 직원들을 지옥에 빠뜨리는 택배의 산(지난해 광군제 택배 4억6700만건)이 만들어지는 것이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