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문화>영화

[필름리뷰-고스트버스터즈] 매력적인 리부트, 원작에 대한 충실한 오마주

영화 '고스트버스터즈'./UPI 코리아



평화롭던 뉴욕에 과학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기이한 사건들이 발생한다. 초자연 현상 전문가 애비(멜리사 맥카시)와 물리학 박사 에린(크리스틴 위그)은 무기 개발자 홀츠먼(케이트 맥키넌)과 함께 사건의 배후에 유령이 있음을 알아낸다. 이들은 뉴욕의 지리를 누구보다 잘 아는 패티(레슬리 존스)와 함께 유령 퇴치 전문 회사 '고스트버스터즈'를 차리고 도시를 구하러 나선다.

80~90년대에 유년기를 보낸 이라면 '고스트버스터즈'를 기억할 것이다. 1984년과 1990년 두 차례에 걸쳐 영화로 만들어진 이 시리즈는 이후 TV 애니메이션으로 제작돼 국내에서도 인기를 누렸다. 먹는 것을 좋아하는 초록색 유령 '먹깨비'와 거대한 '마시멜로맨', 그리고 이들 유령에 맞서 뉴욕 시내를 누비는 네 명의 고스트버스터즈 대원들의 이야기는 오래 전 추억으로 많은 이들의 기억 속에 남아 있다.

그런 '고스트버스터즈'가 2016년 다시 스크린에 돌아왔다. 무려 26년 만의 귀환이다. 그러나 1990년 개봉한 2편에서 이어지는 속편은 아니다. 최근 할리우드에서 불고 있는 리부트(reboot, 기존 시리즈를 다시 원점으로 돌아가 새롭게 시작하는 것) 열풍에 힘입어 새로운 캐릭터와 이야기로 '재탄생'한 작품이다. 이에 걸맞게 새로운 변화를 시도했다. 바로 여성들을 주인공으로 내세운 것이다.

영화 '고스트버스터즈'./UPI 코리아



할리우드에 리부트 열풍이 불고 있는 이유는 그만큼 콘텐츠가 포화 상태에 이르렀기 때문이다. 또한 새로운 이야기를 만드는 것보다 이미 인기를 얻은 시리즈를 새롭게 그려내 보다 안정적으로 흥행을 하겠다는 전략적인 선택이기도 하다. 동시에 리부트는 위험 요소도 함께 지니고 있다. 섣부른 리부트는 원작의 추억을 간직한 팬들에게 배신감을 안겨줄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고스트버스터즈'의 리부트 소식 또한 처음에는 기대보다 걱정과 우려가 많았다. 일부 팬들은 주인공의 성별을 바꿨다는 점에 큰 불만을 나타냈다. 그것은 '고스트버스터즈'의 매력이 네 명의 주인공이 지닌 개성적인 캐릭터에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걱정과 달리 2016년판 '고스트버스터즈'는 원작 못지않은 웃음과 볼거리를 선사한다. 지난해 개봉한 '스파이'를 통해 발군의 코믹감을 보여준 폴 페이그 감독의 연출력이 이번에도 어김없이 빛난다. 유명 TV 쇼 프로그램 '새터데이 나잇 라이브' 출신의 여배우들이 보여주는 연기 호흡도 탄탄하다. 비서 케빈 역으로 출연하는 크리스 헴스워스의 활약도 빼놓을 수 없다. 금발 백인 여성에 대한 스테레오타입인 '백치미'를 남성의 모습을 통해 보여줌으로써 색다른 재미를 전한다.

'고스트버스터즈'는 주인공들의 성별을 단순히 바꾸는 것을 넘어서서 여성 캐릭터들의 매력이 잘 살아있는 작품으로 시리즈를 재해석했다는 점에서 충분히 성공적인 리부트다. 그럼에도 원작 팬들에게 영화는 아쉬움으로 다가갈 것이다. 그런 관객들을 위해 영화는 깜짝 볼거리를 숨겨 놨다. 원작에 출연한 주요 배우들이 카메오로 깜작 등장해 추억을 자극한다. 엔딩 크레딧이 끝난 뒤 등장하는 쿠키 영상에서는 1편의 주요한 사건을 직접적으로 언급한다. 원작에 대한 오마주로서도 제 역할을 충분히 다하고 있는 영화다. 12세 이상 관람가. 8월 25일 개봉.

영화 '고스트버스터즈'./UPI 코리아



영화 '고스트버스터즈'./UPI 코리아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