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증권>시황

해운발 '부실-불신 쓰나미' 금융시장 덮치나?

우려가 현실이 됐다. 현대상선과 한진해운 부실 불똥이 금융시장으로 튀고 있다. 당장 채권단 자율협약으로 구조조정 돌입이 예고됐지만 이들 회사 채권 투자자들은 대규모 손실이 불가피해졌다.

정부와 정치권 주도의 구조조정이 본격화함에 따라 다른 기업들의 걱정도 커졌다. 자금 조달 길이 막힐 수 있어서다. 동양, STX, 대우조선해양 등 믿었던 대기업이 줄줄이 무너진 모습을 본 투자자들은, 선뜻 투자에 나서지 않고 있다.

시장에서는 기업 구조조정발 리스크가 금융시스템을 흔들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또 신용경색이 확대된다면 경기회복에 찬물을 끼 얹을 수 있다는 우려도 적잖다.

◆한진해운·현대상선, 사채 잔액 3조 웃돌아

24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현대상선과 한진해운 사채권자들이 보유한 사채잔액(회사채 신속인수제·영구채 포함)은 모두 3조원을 웃도는 것으로 추산된다.

현대상선은 공모채와 회사채 신속인수제 차환 발행액이 각각 8040억원과 7000억원 가량이다. 한진해운 역시 공모채로 4500억원과 회사채 신속인수제로 8000억원어치를 발행했다.

선순위채권으로 사모 발행된 영구채와 해외사채 등에 투자한 국내외 투자자들도 손실을 피하기 어려워보인다. 현대상선은 지난 2012년 200억원의 영구채와 2013년 1300억원의 해외 교환사채를 발행했다. 한진해운도 2014년 12월 1960억원의 교환사채와 2250만달러의 해외변동금리부 사채를 팔았다. 올해 2월에는 2200억원의 영구채를 매각했다.

이들 비협약 채권은 산업은행, 신용보증기금, 시중은행, 보험, 자산운용사(펀드), 개인투자자, 해외 기관 등이 들고 있다.

당장 올해 만기 대상인 현대상선 3600억원과 한진해운 2210억원의 사채가 채무 재조정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채권단과 투자자들은 이르면 내달 말과 6월 초 열릴 예정인 사채권자 집회 때 공모 사채에 한해 채무 재조정을 협상한다.

현재 현대상선 공모 사채는 신용협동조합과 농협 단위조합 등 제2금융권 기관이 절반 이상 보유하고 있고 나머지는 개인투자자들이 갖고 있다.

지난 22일 자율협약을 신청한 한진해운 역시 현대상선과 비슷한 절차를 밟는다.

채권단은 내달 말부터 6월 사이에 열릴 집회에서 투자자를 대상으로 채권 만기연장 등을 설득할 가능성이 크다.

현대상선은 부채비율 유지조항(1000%)을 지키지 못해 사채권자들 결의가 있으면 현대상선은 사채를 단기에 상환해야 하는 상황이다. 현재 현대상선 부채비율은 지난해 말 기준 1565%에 달한다.

◆해운발 '부실-불신 쓰나미' 금융시장 덮치나

한계기업의 늑장 구조조정으로 애꿎은 일반 투자자만 손실을 보게 됐다. 사실상 빈손인 현대상선과 한진해운이 법정관리로 가면 변제율이 0%에 가까워 투자자들은 한 푼도 건지기 어려워진다.

현대상선은 당장 다음달 초 용선료(배 빌리는 비용) 협상에서 실패하면 6월 초로 예정된 사채권자 집회 자체가 무산되고 법정관리가 불가피하다.

금융권 관계자는 "채권단이 자율협약에 나설 가능성이 크지만, 채권은행이 보유한 채권 규모는 크지 않다"며 "양대 해운사의 구조조정이 본격화되면서 일반 투자자들이 고스란히 손실을 보게 됐다"고 지적했다.

금융권 안팎에서는 현대상선과 한진해운이 수년째 적자를 내는 가운데서도 투자자들에게 무리하게 회사채를 팔았다는 이유로 이들 기업의 도덕적해이(모럴헤저드)와 증권사의 불완전판매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가장 큰 걱정은 자금 조달 시스템이 마비될 수도 있다는 우려다. 지난 2013년 1조원을 웃도는 피해를 준 동양그룹 회사채·기업어음(CP) 사태에서 한 차례 경험한 바 있다.

특히 근근이 자금을 대는 비우량기업에서는 비상이 걸렸다. '제2의 현대상선 한진해운' 신세가 될 수 있다는 걱정 때문이다. 현대상선 한진해운 사태로 사채에 대한 투자심리가 얼어 붙으면서 자금난이 더욱 심각해질 상황에 놓였다.

재계 한 재무담당 부서장은 "대기업이라고 해도 신용등급이 A- 이하면 회사채 발행으로 자금을 조달하기가 쉽지 않다. 경기전망이 어두운 가운데 조달 금리까지 높아지면 경영이 더 어려워질 수 있다"고 불안감을 전했다.

상장사 4곳 중 1곳은 영업활동을 통해 번 돈으로 이자조차 갚지 못하는 '좀비기업'이다. 한국거래소 등에 따르면 금융사를 제외한 12월 결산 상장사 1717곳 가운데 지난해 이자보상배율 1 미만인 기업이 450곳으로 26.2%에 달했다.

기업 재무리스크는 가계나 국가 경제에 미치는 악영향도 크다. '재무리스크 확대→신용등급 하락→투자 위축→실적 악화→소비 위축→경기 침체'의 악순환 고리에 빠질수 있기 때문이다.

원인이 복합적인 만큼 그 해법을 찾기도 쉽지 않다. 전문가들은 '언 발에 오줌 누기'식 대응보다 근본적인 체질 개선을 주문하고 있다.

정대희 한국개발연구원(KDI) 연구위원은 "민간은행들은 기업이 돈을 제대로 갚지 않으면 구조조정을 하려고 하지만 국책은행은 선제 구조조정을 요구하기보다 기업 회생을 낙관적으로 보고 정부 눈치를 보는 측면이 있어 구조조정이 늦다"며 기업 구조조정에서 국책은행이 역할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한편 한국기업평가 한국신용평가 나이스신용평가 등 국내 3대 신용평가사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기업(회사채) 신용등급은 총 29차례 하향 조정(부도 기업 제외)됐다. 반면 이 기간 신용등급이 오른 경우는 단 12건에 그쳤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