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오피니언>칼럼

[김필수의 차이야기] 국내 수입차 점유율, 20%가 마지노선

김필수 대림대학교 자동차학과 교수



올해 국내 수입차 점유율은 16%를 넘을 것으로 예상된다.

20만대는 훌쩍 넘긴다는 뜻이다.

최근 수년 사이에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한 수입차는 이제 기본적인 생활이 돼가고 있다.

전국 어디서나 같은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수도권 중심에서 지방 대도시를 중심으로 번져가면서 전국적인 현상이 되고 있다.

소비자도 이제는 수입차를 보는 시각에 있어서 글로벌 마인드를 갖기 시작했다.

국산차는 비상이 걸렸다.

수입차의 차종이 주로 고급승용차에 몰려 있어 국산차와 겹치는 부분이 적었던 이전과는 다르다.

중저가 수입차가 물밀듯이 몰려오면서 시장 잠식이 커졌기 때문이다.

소비자가 이제는 신차를 구입할 때 국산차와 수입차를 비교하기 시작했다.

생각이 바뀌기 시작한 것이다.

요즘에는 다른 현상도 나타나고 있다.

이른바 OEM(주문자상표부착생산) 수입차라고 하는 현상이다.

르노삼성의 QM3나 한국지엠의 임팔라 등이 대표적이다.

완전한 수입차이면서 보험, 부품비, 공임 등은 국산차 대접을 받는 새로운 형태의 판매 전략이다.

성공적으로 안착되면서 더욱 다양한 모델이 시장을 공략할 것으로 예상된다.

신차 판매전략이 다양성을 더하면서 융합적인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수입차의 점유율은 OEM 수입차와 별도로 성장을 거듭할 것이다.

그러나 필자는 수입차의 점유율이 20% 내외에서 한계점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한다.

약 7~8년 전에도 필자는 수입차가 향후 10년 이내 점유율이 20%를 접근해 갈 것이라고 다양한 인터뷰를 한 바 있다.

당시에 수입자동차협회는 물론 다른 기관에서는 말도 안되는 점유율이라고 평가절하했다.

현 시점에서는 도리어 25% 점유율을 달성할 수 있다고 앞서가고 있다.

그러나 필자는 20%대에 머물 것이라고 예상한다.

물론 앞서 언급한 OEM 수입차는 고민되는 수치다.

수입차의 판매형태가 현재와 같은 전략을 구사한다면 어렵다는 것이다.

현대차그룹을 중심으로 한 국산차의 경우 소비자의 소통 등 다양한 접근 전략을 통해 옛 영광을 생각하고 있다.

품질이나 가격 경쟁력은 물론 애프터서비스 등 다양한 측면에서 수입차와 비교해 강점이 많기 때문이다.

현재는 소비자 중 일부가 수입차에 대한 동경을 갖고 있으나 점차 현실 파악하기 시작한 것이다.

이미 이런 현상은 나타나고 있다.

피로현상은 물론 제살을 깎아먹는 현상도 나타나고 있다.

치열한 가격 경쟁력으로 완성차 판매의 수익이 줄어들고 있다.

같은 브랜드 딜러끼리의 다툼도 발생하고 있다.

앞으로 이러한 현상은 지속될 것이다.

최고급 수입차 브랜드의 경우도 서울 강남을 중심으로 일부 지역에서 당분간 지속될 것이다.

하지만 이같은 현상도 앞을 내다보기 쉽지 않다.

여러 문제점이 나타나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우선 젊은 층을 중심으로 한 중저가 수입차 구입형태의 문제점이다.

각종 파이낸스 시스템을 독립적으로 운영하면서 원금 유예 프로그램 등 다양한 문턱 낮추기 전략을 구사해 효과를 보고 있다.

그러나 실제로 숨어있는 문제점이 드러나기 시작했다.

원금 유예가 끝나가면서 젊은 층의 이른바 '카 푸어'가 사회적인 문제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젊은 층들이 집을 구하지 않고 우선 수입차부터 구입하는 형태는 한계가 있다.

당장은 누가 대신해준다는 형태지만 곧 책임에 대한 문제가 수면 위로 올라온다.

두 번째로 법인차 구입의 문제점이다.

사업용 차량 구입에 대한 법적인 테두리가 어느 정도 마련됐으나, 정부에서 이번에 이를 더욱 강화되면서 사업용 차량 구입의 한계가 커졌다.

현재 고가 수입차 브랜드의 상당수는 사업용 차량으로 구입해 개인적으로 사용하는 행태가 보편화된 상황이다.

2억원 이상의 최고가 수입차는 90% 정도가 모두 사업용 차량이다.

사회적 후유증이 큰 만큼 제도적 규제가 클 것이다.

머지않아 다른 선진국과 같이 구입비용에 대한 상한선이 분명히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개인적으로 고가 수입차를 현금을 내고 구입하는 사람이 과연 몇 명이나 될까?

혹시 모른다.

싱가포르와 같이 아예 출퇴근용으로 사업용 차량을 인정하지 않을 경우 구입 자체가 불가능해지기 때문이다.

지금은 과도기다.

선진국으로 진입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일시적인 현상이라고 판단하는 고민도 필요하다.

미국이나 유럽과 같이 대체품 제도가 수면 위로 올라오면서 현재는 지지부진하지만, 분명히 안착되기 시작하면서 수익 모델에 대한 한계점도 커진다고 할 수 있다.

어려움이 가중된다는 것이다.

부품비와 공임에 대한 문제점은 물론이고 전체적인 보험제도도 수입차에 부담이 되는 제도적 개편이 이뤄질 것이다.

수면 위로 부각된 수입차에 대한 각종 제도적 개선은 수입차의 판매에 어려움을 가중시킬 것이다.

가격과 부품비, 공임 등 국산차 대비 단점은 부각될 것이다.

정부의 규제도 강화되면서 죽어가는 수입차 딜러도 많아질 것이다.

현재 호황을 맞은 시점에서 준비를 철저히 해야 한다.

국내의 선진 제도 안착과 저항선에 대비한 전략을 면밀하게 고민해야 할 시점이다.

그만큼 국산차 메이커의 전략도 본격적으로 시작됐다고 할 수 있다.

허상과 현실도 확실히 구분하는 소비자의 냉점함도 그만큼 커질 것이다.

이같은 맥락에서 향후의 시장 흐름을 예상해본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