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유통>유통일반

[기자수첩] 화장품이 된 물티슈, 영세업체만 혼란

[기자수첩] 화장품이 된 물티슈, 영세업체 혼란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이달부터 물티슈를 '화장품 법'으로 관리하겠다고 밝히면서 업계가 안전성 논란에 종지부를 찍을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에 부풀었다.

안전한 보존제만 사용하도록 하겠다는 식약처의 조치에 대해 업계는 두 손들고 환영의 의사를 밝히고 있다. 하지만 속내는 복잡해 보인다. 식약처가 고시한 59개 목록에 없는 성분은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성분을 교체해야 하는 처지에 놓인 것이다.

기자가 취재 과정에서 접촉한 한 중소업체 관계자는 "제조 판매 등록을 위한 서류 처리하는 것도 애를 먹었다"고 토로했다. 잦은 성분 교체로 혼란스러운 상황에서 중소 업체들은 대체 성분을 찾는 것 역시 쉽지 않다. 어느 성분이 어떤 유해성이 있는지 객관적 근거가 부족하고 안전 기준치는 어느정도 인지에 대한 정보가 거의 없어 성분 개발은 물론 보존제 배합 비율 등은 전문가에게 기댈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화학 보존제를 최대한 배제하고 천연으로 바꾸면 되지 않느냐 물을 수 있지만 이렇게 되면 원가는 2, 3배로 높아진다. 식약처가 이들에게 준 고육책은 연말까지라는 계도기간이다.

대규모 업체를 비롯해 브랜드 인지도가 높은 업체들은 성분을 교체했다며 품질 광고에 열을 올리고 있지만 이 외에 영세한 업체들은 발만 동동 구르고 있다.

규제는 까다로워졌다. 물티슈를 제조하거나 판매를 하려면 별도의 등록 절차를 거쳐야 한다. 무엇보다 살균 보존제 성분은 식약처가 고시한 59개 목록 안에서만 쓸 수 있다. 물티슈에는 세균과 미생물이 번식하는 것을 막기 위해 보통 하나 이상의 보존제를 배합해 넣는다. 공산품으로 물티슈가 분류됐을 당시에는 규제가 없었다. 때문에 화학 보존제가 들어간 물티슈는 유해성 논란에 시달려 왔다.

물티슈 시장은 이례적으로 호수의나라 수오미·몽드드·더퍼스트터치와 같은 중소 업체들이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이는 기업 규모를 넘어 품질력으로 승부를 본다면 중소업체에게도 얼마든지 기회가 있다는 의미다.

식약처가 '알아서 하라'는 식이 아닌 대체 성분 제시 등 영세업체들에게 법 개정에 어떻게 준비해하는지 대안을 마련해줬더라면 혼란은 덜하지 않았을까. 법 개정이 물티슈 시장이 대기업과 인지도 높은 브랜드에게만 시장을 열어주는 기회가 돼서는 안될 것이다.

중소 업체들이 혼란을 겪고 있는 만큼 안전하게 제품을 만드는 애먼 영세업체들이 피해를 보는 일은 없도록 업계와 식약처의 배려가 필요해 보인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