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문화>영화

[필름리뷰-손님] 공동체와 타자, 한국사회의 내면을 파헤치다

영화 '손님'./CJ엔터테인먼트



[메트로신문 장병호 기자] '손님'이라는 말에는 반가움과 두려움이 공존한다. 다른 곳에서 찾아온 누군가를 만난다는 것은 새로우면서도 낯설기 때문이다. 실제로 '손님'에서 '손'의 어원을 따라가면 '인간생활에 해를 끼치는 귀신'이라는 뜻이 있다. 천연두의 역신을 마마 혹은 손님이라 부른 이유다.

김광태 감독의 장편 데뷔작 '손님'에서도 손님은 이중적인 의미를 지닌다. 영화의 주인공인 우룡(류승룡)과 그 아들 영남을 뜻하는 말이면서 동시에 마을 주민들이 두려워하는 낯선 존재를 가리키는 말이기 때문이다. 여기에 영화는 그림형제의 동화로 잘 알려진 '피리 부는 사나이'의 스토리를 차용한다. 토속신앙과 서양동화의 이색적인 만남이 빚어내는 독특한 정서가 강렬한 첫 인상으로 다가온다.

영화의 배경은 한국전쟁이 휩쓸고 지나간 1950년대다. 전쟁으로 아내를 잃고 한쪽 다리까지 다친 악사 우룡(류승룡)은 "눈도 나쁘고 이빨도 썩었고 기침까지 하는" 아픈 아들을 낫게 하기 위해 서울로 먼 길을 나선다. 미군이 던져준 종이 한 장만 들고 정처없이 길을 걷던 우룡은 우연히 지도에도 나오지 않는 작은 마을을 찾는다. 촌장(이성민)은 이들 부자를 반갑게 맞이한다. 단 한 가지, 전쟁이 끝났다는 사실을 마을 사람들에게 이야기하지 말라는 단서를 달고 말이다.

'손님'의 긴장과 갈등은 공동체와 타자의 관계를 보여줘 흥미롭다. 완벽한 공동체일수록 외부에서 온 타자에게는 배타적이 될 수밖에 없다. 촌장이 우룡을 겉으로는 웃으며 반기면서도 속으로는 마뜩찮게 받아들이는 이유다. 그러나 그럴수록 타자는 공동체에 편입되기 위해 부단히 노력한다. 촌장은 우룡에게 마을의 쥐를 잡아달라는 제안을 한다. 우룡을 내쫓으려는 목적의 약속이지만 우룡은 그것이 마을 구성원이 될 수 있는 기회라 생각해 수락한다.

'피리 부는 사나이'가 그러했듯 '손님'의 우룡 또한 쥐를 잡는데 성공한다. 마을 사람과도 친분을 쌓는다. 그렇게 우룡과 영남은 마을 일원처럼 여겨진다. 그러나 공동체는 그렇게 쉽게 타자를 받아들이지 않는다. 특히 혈연과 지연 등으로 얽혀 있는 한국사회에서는 더욱 그렇다. 촌장의 마지막 결단은 그런 점에서 의미심장하다.

영화는 여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간다. 촌장의 과거를 통해 영화가 다루는 공동체의 문제를 한국사회의 이야기로 확장시키는 것이다. 우화 같은 분위기를 자아내던 영화는 그렇게 한국사회의 내면을 예리하게 파헤친다. 우룡이 자신의 아들을 가리키며 "호남에서 태어났지만 이름은 영남"이라고 말하는 대사가 단순한 농담처럼 들리지 않는 이유다. 15세 이상 관람가. 7월 9일 개봉.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