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IT/과학>방송통신

[인터뷰]김성일 현대미디어 대표 "적응하는 미디어만 생존할 것"

김성일 현대미디어 대표는 "미디어는 빠르게 변화하는 시장 변화에 따라갈 수 있어야 한다"며 "결국 차별화된 콘텐츠 생산을 통해 고객의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을 때 생존이 가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손진영 기자 son@



"향후 유료방송시장은 시장 변화에 적응한 미디어만 생존할 것이다."

정부가 제1의 국정목표로 꼽은 창조경제의 핵심으로 '콘텐츠 산업'을 지목한 가운데 지난달 28일 메트로신문과 만난 김성일 현대미디어 대표(방송콘텐츠위원회 위원장)는 "현재 유료방송업계는 고객의 TV시청 행태가 TV에서 모바일로 이동하는 데 이목을 집중하고 있다"면서 이 같이 밝혔다.

이어 "가장 근본적인 것은 콘텐츠"라며 "결국 방송채널사용사업자(PP)와 시청자가 서로 적응하면서 정반합의 개념보다는 다양화를 추구하는 방향으로 흐르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 대표가 바람직하다고 여기는 콘텐츠의 방향은 무엇일까?

그는 "현재 100개 채널에 대한 대가가 고작 1만원으로 책정됐는데 콘텐츠는 제값을 받아야 한다"며 "불법 다운로드 등 음성화된 것을 정상화시켜야 하고, 유료방송은 공짜라는 사람들의 인식도 변화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면서 "국내 유료방송시장은 1억 인구도 안될 만큼 작은 데 PP사업자는 너무 많다. 그들이 서로 경쟁을 해야 하는데 가격 외에 차별적인 부분이 크지 않다보니 결국 가격으로 출혈경쟁을 하고 있는 것"이라며 "요즘 이슈가 되는 통신사 보조금 문제와 유사하다"고 현 상황을 진단했다.

수익 창출에 충분한 크기의 시장을 가진 외국에서는 정원가꾸기, 스포츠 스타의 가십거리 등 특정 분야만 다루는 프로그램이 탄생할 수 있지만 국내는 그렇지 못한 실정이라는 설명이다.

그렇다면 방송의 공공성 확립에 기여하는 콘텐츠를 제작하겠다는 현대미디어는 어떤 행보를 걷고 있을까?

김 대표는 "현대미디어는 일류 보편적인 것을 다룬 닥터스 스토리 등 일부 다큐멘터리 프로그램을 해외에 팔고 있다"며 "거액의 자금 투자는 어렵지만 닥터스 스토리와 같은 것은 우리가 할 수 있는 시도"라고 설명했다.

닥터스 스토리는 '하나의 테마, 두명의 의사'라는 콘셉으로 매회 대척점에 서 있는 두 시각을 다루는 프로그램이다. 예를 들어 더 이상 치료할 수 없는 죽음을 앞둔 환자를 보살피는 호스피스 의사와 생명의 탄생 그 접점에 서 있는 산부인과 의사의 다른 시각을 다루는 식이다.

요즘 선정성 이슈로 주목받고 있는 트렌디 채널 토크쇼 '오늘밤 어때'의 시청 소감을 묻는 질문에 대해서는 "인터넷에는 그 보다 심한 것도 많다. 공감 안되는 부분도 있지만 대체로 재미있었다"면서 "케이팝스타 등 오디션 프로그램처럼 주류를 형성하지는 못해도 하위 프로그램으로써 방송의 다양성을 충족시켜주는 프로그램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